
철근 수요 감소와 건설 경기 둔화로 인해 국내 철근 업계가 하반기 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내수 철근 수요가 예상치를 크게 밑돌면서 생산 조절과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졌으며, 현대제철을 비롯한 주요 철강사들은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또한, 중국 철근 수입 가격 동결 등 국제적인 요인 역시 철근 시장에 영향을 미치며 업계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 제목 클릭 시 해당 기사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철근 수요가 예상치를 크게 밑돌면서 철근 판매에 빨간 불이 켜졌다. 남은 하반기 생산업계의 고심이 크다.
업계에 따르면 건설 경기 둔화로 인해 올해 내수 철근 수요가 800만 톤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심심치 않게 제기되고 있다. 당초 국내 생산업계가 예상한 올해 철근 수요가 870~950만 톤 수준임을 감안하면 전략 재정비가 불가피 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9월 초 철근 시장은 8월의 연장선상에서 움직였다. 자금 확보가 시급한 일부 업체들의 영향으로 시장의 불안감이 이어졌다. 제강사의 생산 조절과 가격 인상 의지는 확고하지만, 수요가 받쳐주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은 상황이다.
평년과 같은 시장이 아니라는 점을 누구나 인정하는 상황이다. 월 단위로 비교하면 언뜻 나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게 고무적이긴 하지만 평년 대비 부진한 실적에 아쉬움이 남는 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맞닥뜨린 9월 H형강 시장은 기대만큼 많은 우려를 가지고 있다.
현대제철이 적극적인 가격인상 관철과 강력한 수입 대응 정책 등을 통해 H형강 시장 주도권을 확실하게 잡겠다는 방침이다. 나아가 오는 9월 중순 추가 가격인상에 대한 부분도 면밀하게 검토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연초부터 누적되어 온 손실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가격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중국 용강이 9월 한국 시장을 대상으로 철근 오퍼가격을 제시했다. SD400 10mm 기준 톤당 510달러, 13mm 이상 제품은 톤당 500달러로 책정됐다. 이는 전월과 동일한 수준으로, 수입 업계는 이번 오퍼가격 제시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관련기사
- [9월 전망-철근] 성수기 초입에도 불안 지속
- [9-1 철근동향] 가격 내린다고 없는 수요 안생겨...
- 철근 제강사, 9월도 8월 못지 않은 휴동 계획
- [9-1 형강동향] 척박한 월초
- [BSI] 철근 가격 올랐지만, 업황은 침체···9월 고전 예상
- 철근 제강사, 8월 판매 목표 15개월 만에 초과 달성
- 부진한 8월 H형강 내수 판매, 10년來 두번째 저점
- 8월 H형강 수입, 2만 톤 턱걸이
- ‘제 2회 지하고속도로 및 터널강재 / 강구조 세미나‘ 3일 개최
- 동국제강, H형강價 ‘쪼이고, 올린다’
- 수입 철근 재고, 4만 톤 초반 기록
- 철근 수입, 시황 불안에 발목 잡혀…계약 축소 예상
- [주중 시황] 철근 시장, 성수기 초입에도 가중되는 침체
- 건설경기, 8월 부진 속 9월도 쉽지 않아
- 철근 제강사들, 추석 연휴 기간 공장 가동 중단
- 제강업계, 철근 가격 인상 시점 두고 신중한 검토
- [9-2 철근동향] 추석 앞둔 시장, 거래 한산…
- 연휴 앞둔 제강사 재고증가 우려에 '엇갈린 시선'
- 美 금리 인하 영향, 국내 철근 수요 회복 기대
- 건설사 부도수 증가, 지방에서 도드라져
- 철근 제강사 재고, 2개월 만에 다시 증가 전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