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주요국들이 잇달아 탄소가격제 도입을 추진하며 철강을 포함한 산업 전반의 탈탄소 전환 경쟁에 나서고 있다. 동남아시아철강협회(SEAISI)가 9월 말 발표한 ‘아세안 철강산업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이미 2019년 탄소세를 시행 중이며, 인도네시아(2025 예정), 태국(2025 예정), 말레이시아(2026 예정) 등이 잇따라 제도 도입을 예고했다.

SEAISI는 “탄소가격제와 자국형 CBAM(탄소국경조정제도)이 없을 경우, 역내 시장은 탄소누출 위험에 노출될 뿐 아니라, 녹색산업 투자도 위축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최근 아세안 지역 내 고로(BOF) 신·증설이 급증하면서 전기로(EAF) 기반의 저탄소 생산 비중이 줄고 있는 점을 우려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35년에는 아세안 철강 생산의 81%가 고로 방식으로 전환될 전망으로, 탄소배출량이 2011년 대비 3배 이상 폭증할 것으로 예측됐다.

SEAISI는 “탄소중립 목표(2050~2065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각국이 명확한 탄소가격 신호와 산업별 감축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며, “말레이시아와 태국의 CBAM 추진은 역내 녹색산업 경쟁력 확보의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스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