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를 대국민 공개 토론회 형태로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NDC는 파리협정에 따라 각국이 국제사회에 제출하는 온실가스 감축 약속으로, 우리나라는 2035년까지 배출량을 대폭 줄이겠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특히 산업 부문 중 가장 많은 배출량을 차지하는 철강산업의 과제가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철강협회 “수소환원제철, 2035년 상용화 불가능”
토론회에 참석한 남정임 한국철강협회 실장은 “정부가 제시한 수소환원제철 기술이 2035년 NDC에 포함돼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2037년 이후에야 상용화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기술 개발부터 설계·건설까지 최소 36개월이 소요되는데다, 중대재해처벌법 등 규제 요인까지 고려하면 시점이 더 늦춰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전환 기술인 전기로 확대 역시 한계가 지적됐다. 철 스크랩의 20% 이상을 해외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각국이 수출을 제한하기 시작해 안정적 조달이 어렵다는 것이다.

남 실장은 “국내 전환 투자를 위해서는 철스크랩 확보와 전기 인프라 확충에 대한 정부 지원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계 “수소·전기 인프라 전제가 핵심”
이상호 포스텍 교수는 기술 자체보다 에너지 인프라 구축이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수소환원제철은 결국 전기로 기반의 공정”이라며, “2035년까지 충분한 그린 전력과 저렴한 수소가 공급돼야만 상업적 운영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철강산업이 석탄 기반에서 에너지 독립형이었던 반면, 수소환원제철은 전력망 의존형으로 바뀌게 된다”며 대규모 전력 수급 문제를 정책적으로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 “목표 흔들림 없이, 지원책 병행”
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업계의 현실적 어려움은 공감하면서도, 국제사회 흐름에 맞춰 속도를 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세계는 탈탄소화로 빠르게 가고 있는데 우리만 현실에 안주할 수 없다”며, “유상할당 수익금과 기후대응기금을 활용해 감축 투자 지원을 확대하고, 필요하다면 국채 발행 등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개회사를 진행하는 모습.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개회사를 진행하는 모습.
저작권자 © 스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