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판재 시장은 다소 어수선했다. 앞서 8월 말 무역위원회가 중국산 탄소강 후판에 대한 반덤핑 최종판정을 내리면서, 주요 공급사에는 가격 약속이 받아들여졌지만, 나머지 중국 업체들에는 최대 34.10%의 관세 부과가 예고됐다. 다만 건설기계용 특수 강재 등 일부 품목은 적용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와 맞물려 수입 시장에서는 중국산 열연 및 후판 공백을 메우려는 움직임이 본격화했다.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을 중심으로 동남아 오퍼가 잇따르며 한국향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아울러 인도네시아산 후판은 단발성에 그치지 않고 4차 오퍼까지 이어지며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 시장은 10월 가격 인상을 향한 활시위를 당겼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고로사들이 10월 후판 가격을 톤당 3만 원 인상을 발표했으며, 냉연도금재 메이커들도 잇따라 가격 인상 공문을 내며 분위기를 달궜다. 그러나 부진한 건설 경기와 정체된 유통가격은 여전히 반영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 정부의 철강산업 구조조정설이 불거지며 시장이 술렁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TF의 결과를 10월 중 발표하겠다고 예고했다. 업계는 이번 대책이 관세와 가격 변수로 요동치는 시장에 어떤 방향성을 제시할지 주목하고 있다.
※ 제목 클릭 시 해당 기사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中 후판 AD 최종판정①...관세 제외 품목은?
지난 8월 말 무역위원회가 중국산 탄소강 후판에 대한 반덤핑 최종판정을 내렸다. 이에 본지는 최종판정 보고서와 의결서를 토대로, 조사 과정에서 제기된 일부 품목의 관세 제외 요청에 따른 결과와 사유를 짚어봤다.
▢ 중국산 열연 공백 속, 동남아 수출오퍼 ‘간 맞추기’
9월 말 중국산 열연에 대한 잠정관세 부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최근 무역업체들이 동남아산 오퍼를 잇달아 제시하고 있다. 수입업계는 중국산 재고가 10월 말쯤 소진될 것으로 보고, 11월 선적분부터 동남아 물량으로 수요를 맞추는 분위기다.
▢ 후판 유통시장 10월 반등 시동...기대감도 빼꼼
후판 시장의 기대감이 점차 무르익고 있다. 국내 고로사들의 공급가격 인상 의지와 함께 중국산 재고가 바닥나면서다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현대제철 등 국내 후판 메이커들은 10월 수주 및 주문투입분부터 정품 후판을 톤당 3만 원 인상할 계획이다.
▢ 단압밀, 냉연도금재 가격 인상 재시동...시장 반영 주목
냉연도금 판재류 메이커들이 지난달에 이어 이번 달에도 가격 인상 공문을 꺼내 들었다. 인상 폭은 제품별로 톤당 3만~5만 원 수준이다. 앞서 지난 8월에도 메이커들마다 9월 출하분을 두고 공급가격 인상을 추진했으나, 온전히 반영하지 못했다.
▢ 정부, 철강업계 구조조정 계획설 부인...10월 대책 발표
산업통상자원부가 ‘정부 주도 철강업계 구조조정’ 보도와 관련해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을 내놓은 가운데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태스크포스(TF) 운영 결과 및 TF에서 도출된 결론을 10월 내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 단발성 아니네?...인도네시아 후판 4차 한국향 오퍼 제시
인도네시아산 후판 수출 오퍼가 단발성에 그치지 않고 4차 오퍼까지 잇따라 나오면서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의 한 무역업체는 지난 8월 1차 오퍼를 시작으로 최근 4차 오퍼까지 연이어 내놓았다.
관련기사
- EU, 일본·인도 등 5개국 냉연강판에 반덤핑 조사 착수
- [9-3 판재]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 8월 車 생산·내수·수출 모두 증가…수출액 역대 최고치
- 영국, 미국과 철강 관세 협상 연기 속 "25% 상한 보장" 추진
- 포스코 노사, 2025년 임단협 조인식 개최
- 영국 정부, 제철 산업 국유화 가능성 검토
- 9월 국내 아연괴 가격 전월비 1.9%↑
- 中 후판 AD 최종판정②...산업 피해 쟁점과 무역위 결론
- 베트남 열연 시장, 중국 비부가세 화물 억류로 ‘혼란’
- 전환기의 세계 철강업계(최종) - 현재 그리고 다가올 미래
- [무역통계] 8월 GI 수출 늘고 수입 줄어…엇갈린 흐름
- 인도 DGTR, 중국산 무방향성 전기강판에 AD 긍정 판정
- [무역통계] 8월 EGI 수출 부진…수입은 급증
- [무역통계] 8월 TP 수출입 모두 뒷걸음질
- [무역통계] 8월 컬러강판 수출입 동반 감소
- [8월 판매] 포스코 냉연도금재 판매 감소…수출 부진이 주원인
- [8월 판매] KG스틸, 냉연도금재 전월비 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