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1년 12월 13일,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대한 합의서가 제5차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채택됐다.
이 합의서는 당시로서는 남북관계 진전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는 계기가 돼,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고자 남북한 철강금속산업 실태와 교류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가 추진됐다.
동 연구는 연구 범위를 철강과 금속산업으로 한정했다. 1장에서는 북한 경제의 정책과 제도상의 특징을 설명했고, 2장에서는 북한의 철강 수급 구조를 계량적으로 추정했다.
3장에서는 철강금속산업 부문 내에서 교역 가능한 품목을 추출했으며, 4장에서는 남북한 경제교류와 협력에 관한 법 절차와 지원 제도를 살펴봤다.
또한 5장과 6장에서는 경제교류와 협력 방안에 기초해 철강금속산업 부문에서의 협력 방안을 각 유형별로 제시했다.
이 보고서는 2014년 산업연구원이 북한 철강산업 재건 방향과 제철소 합리화 방안을 연구한 '북한 철강산업 재건을 위한 남북협력방안 연구' 책자와는 달리, 협력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1991년 당시 북한 철강산업을 이해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데 좋은 길잡이가 됐다는 평가다. 이 책자는 철강금속신문 방정환 편집국장이 기증했다.
김은주 기자
kej@steelnsteel.co.kr
관련기사
- 협회 창립 50주년 기념/철강史料 이야기 ⑤ 철강산업 초기인 `70년대 한국 철강산업의 성장전략은?
- 협회 창립 50주년 기념/철강史料 이야기 ④ `70년 제정된 철강공업육성법 철강 산업 합리적 육성에 기여
- 협회 창립 50주년 기념/철강史料 이야기 ③ 역사 속으로 사라진 한보철강 이야기 책자도 기증
- 협회 창립 50주년 기념/철강史料 이야기 ② 포스코 사보 창간호 세상 밖으로
- 협회 창립 50주년 기념/철강史料 이야기 ① 철강인 야구대회가 프로야구의 원조(?)
- 철강협회, 창립 50주년 맞아 숨어있는 철강사료(史料) 찾는다
- 대광인터내셔날, 재생률 95% ‘신나 재생장치’ 국내 도입
- 협회 창립 50주년 기념/철강史料 이야기 ⑦ 철의 날은 왜 6월 9일일까?
- 협회 창립 50주년 기념/철강史料 이야기 ⑧ 한국철강협회, 포스코 등 18개사에 50년 동행 감사패 전달
- 협회 창립 50주년 기념/철강史料 이야기 ⑨ `97년 종합특수강사인 창원특수강을 기억하십니까
- 협회 창립 50주년 기념/철강사료 이야기 ⑩ 액면가 10원인 1973년 포항종합제철 공장 준공 기념 우표 현재 가치는?
- 협회 창립 50주년 기념/철강사료 이야기 ⑪ 1990년에 바라본 2000년대 철강산업의 발전방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