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가 광양시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해 달라고 정부에 공식 신청했다. 이는 철강산업 편중 구조와 최근 경기 침체로 인한 지역경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다.

광양국가산업단지는 생산의 88.5%, 수출의 97.6%가 철강에 집중돼 있으며, 최근 2년간 글로벌 공급과잉, 중국산 저가재 수입 확대, 내수 부진이 겹치면서 매출과 생산이 크게 위축됐다. 2025년 2분기 금속산업 생산액은 전년 동기 대비 9.43%, 2023년 대비 7.45% 감소했다. 이에 따라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협력 중소기업들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줄고, 청년층 유출·상권 침체·고용 위축 등 지역 전반의 위기가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남도는 정부에 2026~2030년 5년간 총 3,871억 원 규모의 지원사업을 건의했다. 주요 내용은 ▲철강 R&D 및 제조혁신 기술개발 ▲고용·인력 양성 및 고용안정 지원 ▲중소·중견기업 금융지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을 통한 상권 활성화 ▲노후산단 재생 및 AX지원센터 구축 등이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될 경우, 지방투자촉진보조금 국비 보조율 상향, 중소기업 대상 최대 10억 원 규모의 경영안정자금 융자, 보통교부세 가산,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 등 재정 혜택이 뒤따른다. 전남도는 이를 통해 지역 산업 회복과 미래 경쟁력 제고 효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향후 절차는 10월 산업통상자원부의 현지 실사와 11월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지정 여부가 확정된다. 

저작권자 © 스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