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한-미 관세 협상에서 철강 품목이 제외되고 고율 관세가 유지되자, 포항시와 지역 철강 기업들이 긴급히 머리를 맞댔다.
포항시는 지난 6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포항시에 소재한 철강 기업들과 함께 최근 발표된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따른 철강 업계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긴급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7월 31일 발표된 한-미 관세 협상 결과에 따라 철강 품목에 대한 기존 50% 고율 관세가 유지됨에 따라,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철강 업체들의 부담이 가중되자 긴급히 마련됐다.
이날 간담회에는 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세아제강·넥스틸 등 포항에 생산 기반을 둔 주요 철강 기업들이 참석했으며, 포항상공회의소와 포항철강산업단지관리공단 등 유관 기관도 함께해 현장의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피해 최소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참석 기업들은 “미국의 고율 관세 유지로 한국산 철강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고, 물류비 증가 등의 부담까지 겹쳐 수출 여건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라며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책이 절실하다”라고 입을 모았다.
특히 이번 한-미 관세 협상에서는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등 일부 품목에 대해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고 △2,000억 달러 규모의 대미투자펀드 조성 △4년 간 1,000억 달러의 미국산 에너지 구매 등 주요 합의가 이루어졌으나, 철강·알루미늄의 경우 기존의 50% 고율 관세가 유지되면서 포항을 비롯한 국내 철강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 저하가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철강 업체 A사 관계자는 “이번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판재류 뿐만 아니라 강관 업계 역시 수출 채산성 악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포항에서 공장을 운영하는 기업들의 제조 기반이 흔들리지 않도록 포항시가 적극적으로 나서달라”라고 호소했다.
이에 대해 포항시 이강덕 시장은 “기업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관세 정책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철강 산업 보호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