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닉네임
- 손정수
한국수출입은행은 해운 조선업 2023년 동향과 2024년 전망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산업환경
· (유가 및 연료가) 유가는 ‘23년 3분기 중 감산 영향 등으로 일시적 상승이 있었으나 대체로 ’23년 중 하락 추세를 보였으며 4분기에도 하락 지속
· (후판 가격) 상반기 후판가격은 3분기 중 정체흐름 후 4분기 중 하락하였으나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대비 높은 수준 유지
- 해운업 동향
· (벌크선) ‘23년 중 다소 부진한 시황이 지속되었으나 4분기 중 비교적 양호한 수준까지 상승
· (탱커) 러-우 전쟁 영향 지속과 적은 신조 선복 공급으로 양호한 수준 유지
· (컨테이너선) 경기둔화와 신조선 대량 공급으로 하락추세 지속, 홍해사태로 12월 중 반등
· (LNG선) 러-우 전쟁으로 급등한 운임과 용선료가 조정되며 하락하였으나 양호한 시황 유지
· (LPG선) 많은 신조선 인도에도 중국의 수입증가와 미국-아시아 원거리노선 수요 증가로 호조
- 세계 신조선 시장 동향
· (발주/건조량) ’23년 신조선 발주량은 전년대비 감소하였으나 비교적 양호
· (신조선가) 발주량 감소에도 ‘23년 중 상승 흐름 유지
· (수주점유율) 중국이 압도적 점유율을 차지하였으며 한국의 점유율은 하락
- 한국 조선업 동향
· (수주/건조량) 국내 신조선 수주도 감소하여 다소 부족한 수준
· (수주잔량) 소폭 증가하였으며 3.5년치 이상의 안정적 일감 확보 유지
- 2024년도 전망
· 2024년 중 신조선 시장은 관망세 확산 우려 등으로 발주 및 국내 수주 감소 전망
· ‘24년 국내 조선업계의 최대 과제는 인력문제 해소와 생산시스템 안정화
· 중장기적 인력 양성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선박의 가격 유지, 가치 향상을 위한 R&D 투자와 기자재의 동반 발전 등 근본적 노력과 전략이 필요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