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자료실

제목

[2024년 전망] 철강, 2024년 철강 업황은 조건부 상승 ... 메리츠증권

닉네임
손정수
등록일
2023-12-04 09:43:31
조회수
120
첨부파일
 메리츠증권_산업_금속 및 광물_20231109144449 (2).pdf (5280995 Byte)

 2023 중국 철강 업황 Review: 1Q23 중국 경기회복과 부양책을 기대 → 2Q23 부진한 경기지표에 실망 → 3Q23 소비촉진책과 부동산규제 완화에 실수요 개선 기대 → 4Q23 여전히 부진한 실수요 지표에 실망  반복된 기대와 실망 속, 중국 철강산업의 펀더멘털은 연초 컨센서스였던 상저하고가 아닌 상고하저로 마무리되는 중

 시장은 여전히 업황 저점을 판단하고자 하는 가운데, 철강 수급 지표는 개선을 보여주지 못하는 상황

 중국 건설경기 Downcycle은 지속 중: 중국 부동산 완공면적은 증가, 착공면적과 기성면적은 동반 감소

 지방정부 인프라 투자 여력 또한 한계: 부동산 시장 침체 → 지방정부 토지사용권 양도 수입 감소 → 세수 부족으로 재정부담 악화 → 부양여력 소진 → 신규 인프라 투자 감소

 중국 철강 업체들의 감산 기조 진입은 확실하나, 감산 규모는 크지 않음 조강 생산량: 2020년 10.05억톤 → 2021년 10.03억톤 → 2022년 10.01억톤 → 3Q23 YTD 7.9억톤(YoY +0.9%)

 중국 내수 수요 부진으로 3Q23 YTD 철강 순수출은 6,183만톤, YoY +44.0%  부진한 업황 속 중국 중앙정부는 2023년 재정적자비율을 3.0%에서 3.8%로 상향, 4Q23 1조 위안 특별 국채 발행

 지방정부의 부실한 재정건전성으로 인해 인프라향 수요 견인 기대는 제한적이었으나, 중앙정부의 역할 확대로 인프라 투자 확대를 기대.

 2024년 철강 업황은 조건부 상승. 중국 중앙정부 재정완화정책이 실질적 인프라 투자 회복으로 이어져야 함.

 단기적 업황 전환의 주요 변수는 중국 2024년 GDP 성장률 목표 설정(5%)과 인프라 투자의 회복 기조 발현  철강 업종 내 현대제철 선호. 역사적 저점 Valuation 근접하여 Downside는제한적, 다시 고개를 드는 기대가 현실이 되었을 때의 Upside는 크다고 판단

작성일:2023-12-04 09:43:31 121.134.86.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