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닉네임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16일 서울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이창양 장관이 주재하는 ‘철강산업 발전 원탁회의’를 열고 「저탄소 철강생산 전환을 위한 철강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하였다.
ㅇ 이날 회의에는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 안동일 현대제철 사장, 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 이휘령 세아제강 부회장, 박성희 KG스틸 사장, 대한제강 오치훈 사장, 아주스틸 이병형 사장 등 7개 철강기업 주요인사와 철강협회, 철강자원협회 등이 참석하였다.
□ 또한 회의에 앞서 저탄소 철강생산에 관한 정부와 기업 등 간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철강생산 저탄소화 추진 업무협약*」 을 체결하고 1,500억원의 펀드 조성에 합의하였다.
□ 이날 회의에 앞서 진행된 「철강생산 저탄소화 추진 업무협약」에는 이창양 장관과 한국철강협회, 한국철강자원협회와 철강업계가 참여하였으며 회의에 참석한 7개 기업이 업계를 대표하여 서명하였다.
ㅇ 해당 업무협약은 철강생산 공정의 저탄소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제고 및 성과 확산을 목표로 하며 이와 관련한 투자 및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와 철강업계, 철자원 업계 간 협력을 골자로 한다.
ㅇ 특히 참여자들은 철강생산 저탄소화를 위한 민관 협의체로서 ‘21년 1월 발족한 그린철강위원회를 개편한 「철강생산 저탄소화 얼라이언스」(가칭)를 1분기 내 구성하고,
- 협의사항의 이행을 위해 작년 6월 1,500억 규모로 조성하여 운영중인 「철강 ESG 상생펀드」를 적극 활용하되 해당 펀드 소진 시 철강생산 저탄소화에 특화된 1,500억 규모 민간펀드를 조성할 것에 합의하였다.
□ 금번 행사는 저탄소․고부가 중심 글로벌 철강시장 재편에 대응하여 철강 생태계를 성공적으로 전환하고 청정철강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부 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민·관의 협력 의지를 다지기 위해 마련되었다.
ㅇ 현재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새로운 탄소규제가 등장하며 탄소 감축이 수출 경쟁력이 되는 무역질서가 형성 중이고,
ㅇ 글로벌 공급과잉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자동차, 조선 등 전방산업의 친환경 전환으로 철강 수요 구조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 이날 발표된 「철강산업 발전전략」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 철강산업의 새로운 도약 기반을 마련하려는 취지로,
ㅇ 원료-공정-제품-수출로 이어지는 철강 밸류체인에 걸쳐 ‘30년까지 ①철스크랩(고철) 산업생태계 구축, ②세계최초 수소유동환원 기술개발, ③친환경선박용 고망간강 밸류체인 완성, ④글로벌 수출 3강 달성 등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