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 보호무역주의가 최근 미국내 다른 제조업의 기업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를 점증시키고 있다고 포스코경영연구원(이하 포스리)이 분석했다.

포스리 이슈리포트 ‘ 미국 철강 보호주의의 빛과 그림자’를 통해 이상학 수석연구원은 2년전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된 직후 미국 철강사의 주가는 단기간에 급등했다고 밝혔다.

취임 이후에는 자국 우선 경제성장 정책과 함께 232조, 301조 등 조항을 근거로 강력한 보호무역정책을 실시하며 철강 및 제조업 부흥을 추진했다.

또한 미국의 무역규제 조치 본격 발동으로 2018년초 이후 미국 내수가격이 빠르게 상승하며 타지역과의 가격차가 확대되고 철강 생산도 증가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내 조강 생산도 전기로를 중심으로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며 월 750만톤 수준에 도달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가격 상승세와 더불어 판매량이 늘면서 미국 주요 철강사들의 경영실적도 크게 개선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국 철강사들은 정부 지원에 힘입어 신규 및 합리화 투자를 진행하고 휴지설비 재가동과 M&A를 통한 확장 등 내수 장악 전략을 공고히 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그러니 미국 경기 상승세가 지속됨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으로 피해를 입는 기업들의 실적 영향이 가려져 왔으나 지난 3분기 실적 발표시즌으로 접어들면서 미국 제조업체의 수익성 악화 징후가 증가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더구나 각국에 대한 관세 인상이 이어지고 생산비용 상승에 직면한 업체들은 제품 가격 인상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이상학 연구원은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기조는 대통령의 통상정책 재량권이 많고 의회의 초당적 지지를 받고 있어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나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심화돼 여론이 움직일 경우 강도나 기간의 조정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그는 232조의 경우 산업구조의 변화를 목표로 추진하는 것이기에 트럼프 정권 이후까지 지속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며 미국의 통상정책이나 그에 따른 글로벌 경제의 영향 등 외생적 상황변화를 예의 주시하면서 상황별 및 기간별 대응방안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