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철근 수요, 회복 신호 부재에 ‘저점 보합’ 지속

- 착공·인허가 지표 최저권···회복 신호 부재 - 제강업계 “내년 680만~720만톤 수준”···보합 전망 우세 - 공공 확대에도 민간 부진 지속···수요 반등 제약

2025-11-24     김영대 선임기자

국내 철근 제강업계가 내년도 철근 수요를 올해와 비슷한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본지 취재 결과 상당수 업체들은 내년도 명목수요가 680만 톤에서 최대 700만 톤 중반대 범위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사실상 현 수준의 침체가 지속될 것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특히, 680만 톤 내외를 예상한 제강사들은 “올해 시장 흐름과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일부 업체가 700만 톤 중반대를 언급했지만, 이 역시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 범위”라며 보수적 태도를 유지하는 분위기다. 업계는 전반적으로 자연스러운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운 시장으로 보고 있다.

착공·인허가 연면적, 여전히 ‘역대 최저권’∙∙∙회복 모멘텀 부재
철근 수요가 올해 수준에서 횡보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장 큰 이유는 건설 선행지표의 극심한 약세 때문이다.

단기 수요 흐름을 반영하는 철근콘크리트 착공 연면적은 올해 1~9월 누적 기준 3,791만㎡로, 지난 2023년(3,268만㎡)에 이어 역대 최저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021년 6,798만㎡의 절반 수준이다.

장기 선행지표인 인허가 연면적 역시 5,614만㎡로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경신했다. 이는 내후년 이후의 철근 투입 기반마저 약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제강업계가 회복 흐름을 뒷받침할 지표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토로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공공 공급 확대에도 민간 부진 지속∙∙∙수요 반등 제한적
부동산과 건설시장을 향한 정부의 정책 방향성도 사실상 애매하다. 정부는 공공기관을 주도로 한 주택 공급 계획을 제시하고 있지만, 민간 부문의 위축이 이를 상쇄하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특히 △노동안전대책 강화로 인한 공사 일정 지연 △금리 고착·부동산 수요억제 기조로 인한 분양계획 축소 △분양가 규제 요인에 따른 민간 시행사의 공급 의지 약화 등이 철근 수요 반등을 제약하는 핵심 요인으로 지목된다.

이와 관련 제강업계 관계자는 “민간 건설사들이 중대재해 처벌이나 미분양 등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위축된 모양새다. 공공주도의 주택 공급대책만으로는 건설이나 철근 수요의 저점을 끌어올리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 컨센서스, “회복 없는 보합∙∙∙680~720만 톤 미만 범위”
이에 따라 업계는 내년도 철근 명목수요가 올해와 유사한 수준에서 680~720만 톤 미만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전망했다. 이는 시장이 추가로 악화되지는 않지만, 뚜렷한 회복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결국 내년도 철근 시장은 올해 수준의 저점 보합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착공·인허가의 동반 부진과 민간 공급 위축이 리스크로 작용하면서 수요 상승 동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한 제강사 관계자는 “선행지표가 바닥권에서 움직이지 않는 만큼, 내년도 생산·판매 전략도 올해와 비슷한 보수적 기조가 유지될 것”이라며 “특별한 반등 요인은 현재로서는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시장 규모가 과거 900~1,000만 톤대에서 700만 톤 안팎으로 축소된 만큼, 물량 확대보다는 수익성 확보가 최우선 과제”라며 “민간 분양 정상화와 금리 안정 등 근본적인 건설경기 개선 신호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신중한 접근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