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동해가스전 CCS 실증·서해 집적단지화 가속"...한국석유공사 조재경 팀장

- 한국, 서해권 집적화단지 조성···발전·철강·석유화학 분야 탄소 관리 - 한국형 CCS 법제화 완료, 2025년부터 본격 사업화 기반 마련 - 블루수소·AI 데이터센터와 연계 가능한 탄소저감 산업 생태계 구축

2025-11-20     이명화 선임기자
◇한국석유공사 조재경 팀장(사진)은 20일 대구 엑스코에서 개최된 '제20회 강관산업 발전 세미나'에서 '국내외 CCS 사업 동향'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한국석유공사 조재경 팀장은 11월 20일 대구 엑스코 서관에서 열린 ‘제20회 강관산업 발전 세미나’에서 ‘국내외 CCS(이산화탄소 포집·저장) 사업 동향’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조 팀장은 △CCS 개요 △동해가스전 CCS 실증사업 △CCS 사업 상용화 방안 등을 중심으로 국내외 추진 현황을 설명했다.

발표에 따르면, 전 세계는 2022년 약 370억 톤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대폭 감축해 넷제로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4년 말 기준 150여 개국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공식 수립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특히 주요 탄소감축 수단으로는 CCUS를 비롯해 전기화, 에너지 효율 향상, 풍력·태양광, 수소, 바이오에너지, 연료 대체 등이 있으며, 이 가운데 CCUS는 약 60억 톤(한국은 8,500만 톤)의 감축 목표를 담당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조 팀장은 동해가스전에 대한 설명도 덧붙였다. 동해가스전은 울산 남동쪽 해상 58㎞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실증 사업은 육상에 허브 터미널, 해상에는 약 60㎞의 해저 파이프라인을 설치해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지층으로 이송하는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제20회 강관산업 발전 세미나 행사 전경

조 팀장에 따르면 한국은 CCUS 산업 활성화를 위해 법·제도 정비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2025년 2월부터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며, 이미 영국·미국·노르웨이 등 주요국은 대규모 CCS 클러스터 구축을 선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특히 조 팀장은 한국의 경우 서해권 CCUS 집적화단지 구축이 진행 중으로, 서해권의 주요 CO₂ 배출 지역으로는 영흥·당진·태안·보령의 석탄화력발전소, 서해 대산석유화학단지, 당진 철강산업단지 등이 있으며, 이 지역을 중심으로 이산화탄소 포집·집적 기반이 조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조 팀장은 “서해권 CCUS 집적화단지가 구축되면 블루수소 발전과 연계해 반도체 생산 시설 및 AI 데이터센터와 같은 대규모 전력·열 수요 산업과의 시너지도 기대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