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신규 니켈 제련소 설립 제한…“중간재보다 완제품 중심”

2025-11-13     손연오 편집국장

인도네시아 정부가 니켈 산업의 고도화를 위해 신규 제련소 설립을 제한하는 정책을 공식화했다.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ESDM)는 최근 ‘2025년 제28호 공공정책령(PP No.28 of 2025)’을 공포하고, 리스크 기반 사업허가 제도(Risk-Based Business Licensing System)의 일환으로 새로운 니켈 제련소 건설을 제한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니켈 산업 투자를 고부가가치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평가된다.

기존에는 니켈 제련소 투자가 ‘산업운영허가서(IUI)’ 발급을 통해 승인되었으나, 이번 개정으로 RKEF(전기로 제련)와 HPAL(고압산침출) 등 제련기술을 적용해 니켈 중간재(FeNi, NPI, MHP, 매트 등)만을 생산하는 신규 제련소의 설립이 금지된다.

에너지광물자원부 광물석탄국의 트리 위나르노(Tri Winarno) 국장은 “중간재 생산 중심의 신규 제련소를 제한함으로써 하류산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국내에서 더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조치의 목적은 단순히 투자를 멈추는 것이 아니라, 산업의 중심을 중간 단계에서 최종 제품 생산으로 옮기는 데 있다”며 “니켈이 최종 제품 형태로 완성된다면 인도네시아 내에서 훨씬 더 큰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위나르노 국장은 니켈 가격이 단순히 국내 정책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급과 수요, 지정학적 요인, 시장 심리 등 다양한 글로벌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덧붙였다.

에너지광물자원부는 이번 제한 조치로 향후 투자가 전기차 배터리 원재료나 기타 니켈계 금속 파생제품을 생산하는 제련소로 집중되길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하류 부문의 산업 효과와 경제적 이익이 인도네시아 내에서 더욱 폭넓게 확산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인도네시아 내에서 전기차 배터리용 고순도 니켈 소재 생산시설의 개발은 상대적으로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가동 중인 IMIP와 OSS의 스테인리스 제련소는 각각 연간 450만 톤, 250만 톤 규모로 운영 중이며, 정제니켈 제련 능력은 12만톤, 니켈황산 생산능력은 27.7만 톤(니켈 기준) 수준이다.

반면, 인도네시아 내 니켈선철(NPI)·니켈철(FeNi)·MHP 등 중간재의 총 생산능력은 약 317만 톤(니켈 기준)으로, 1차 니켈 및 하류 시장의 성장 여력은 여전히 큰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