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 강관] 느려진 인상 속도, 수요 부진 여전
- 탄소강 배관재 백관 시세 소폭 반등, 구조관 '약보합' - STS 강관 시장 거래 한산···일부 저가 제품도 출현중 - 수요 회복 없인 인상도 한계, 11월 시장 '인내의 시간'
11월 첫째 주 강관 시장은 수요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탄소강 강관은 배관용 백관을 중심으로 소폭의 시세 상승이 나타났다. 반면 STS 강관은 11월 소재 공급 단가 동결과 유통 업계의 저가 수주 확대로 시세 상승 동력이 약해지면서 침체 분위기가 짙게 깔리고 있다.
<탄소강 강관>
탄소강 강관 시장은 이번주에도 거래가 둔화된 가운데, 배관용 백관을 중심으로 지난주 대비 소폭의 시세 상승이 나타났다. 이러한 흐름이 11월 중순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10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시장에서 뚜렷한 수요 반등 신호는 감지되지 않았지만, 배관재 제조 업계는 원부자재 가격 상승과 고정비 부담 확대로 판가 인상 필요성이 커진 상황이다. 이러한 조관사들의 인상 기조가 유통 시장에도 서서히 반영되기 시작하면서, 제한적이지만 상승 흐름을 만들어내고 있다.
반면 구조관 업계는 판매 압박이 심화되고 있다. 업계 간 수주 경쟁이 과열되면서 지역·물량별 저가재가 출현하는 등 시세는 힘겨운 약보합세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구조관 제조 업체들은 이달 중순 이후 시황을 살피면서 가격 정책을 조정할 가능성이 높아, 당분간은 현행 가격을 유지하는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번주 유통 가격은 구조용 2㎜ 흑관 톤당 80만 원 후반대, 구조용 2㎜ 백관 톤당 100만 원 초반대, 배관용 100A 흑관 톤당 100만 원 초반대, 배관용 100A 백관 톤당 120만 원 후반대에서 거래됐다.
<STS 강관>
STS 강관 시장은 이번주 역시 조용한 흐름을 이어갔다. 시세는 지난주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거래는 한산한 분위기가 뚜렷하다.
포스코가 11월 STS 300계 공급 단가를 동결하면서 시장 가격의 상승 동력은 한층 약화됐다. 여기에 유통 업체들이 목표 판매량 달성을 위해 저가 수주에 나서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저가재가 출현하며 시세 하방 압력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올해 남은 영업일이 38일에 그치면서, 유통·제조 업체 모두 매출 확보와 수익성 보전 사이에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STS 강관 제조 업체들은 올해 1·3·9월 세 차례나 인상을 단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유통 시장에서는 인상분이 전혀 반영되지 못하면서 원부자재 가격 부담만 누적되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처럼 수요 부진 장기화 국면속에서 다음주 시황 역시 뚜렷한 반등이나 급격한 시세 변화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이번주 유통 가격은 포스코 STS 304 열연 강관 톤당 350~360만 원, 포스코 STS 316L 열연 강관 톤당 680~690만 원 수준에서 거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