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 판재] 이번 주도 결국 ‘꽝’

- 수입산 열연만 오르고, 나머진 제자리걸음 - 재고 부담에 인상 시기 지연… 시황은 ‘정체’ - 냉연 대보수 불구, 대부분 품목 수급은 원활

2025-11-07     박현욱 선임기자

이번 주 판재류 유통시장은 전반적으로 ‘관망세’가 짙었다.

열연 수입재를 중심으로 소폭의 가격 인상이 있었지만, 시장 전반에 상승 흐름을 만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냉연도금재 역시 메이커들의 인상 시도에도 불구하고 유통가격이 움직이지 않으며, 수요 부진과 재고 부담 속에 정체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열연/후판>
11월 첫째 주 열연 및 후판 유통시장은 조용한 흐름 속에서 보합세를 이어갔다. 열연 수입재가 1만 원가량 올랐으나, 전체적인 시황은 지난주와 큰 차이가 없었다.

일부 업체들이 호가를 제시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여전히 ‘기존 단가 유지’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수입재의 경우 재고 부족으로 가격 인상이 조금이나마 통했다.

업계에 따르면 열연 정품은 톤당 82만 원, 수입대응재는 77만 원, 중국산은 76만 원선에서 거래됐다. 당초 다수의 유통업체가 이번 주부터 인상 호가를 낼 계획이었으나, 지난달 재고가 누적되면서 부담이 커진 탓에 실제 인상 시기는 다소 늦춰지고 있다.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이번 주까지는 기존 단가로 판매하고, 다음 주부터 인상을 적용할 계획”이라며 “수입재는 재고가 거의 소진돼 1만 원 정도 오른 수준이고, 정품과 수입대응재는 동일하다”고 전했다.

판매 흐름은 여전히 부진하다. 월 초인 만큼 아직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는 분위기지만, 10월에 미리 물량을 확보한 업체가 많아 11월 초 신규 수요는 줄었다는 평가다. 다만 유통업체 대부분이 4분기 판매 목표를 3분기보다 높게 설정한 만큼, 달성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후판 시장 역시 큰 변동이 없다. 포스코가 수입대응재인 GS400을 SS400으로 대체해 주문을 받고 있지만, 정품 특성상 공급가격 인상 요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에는 아직 뚜렷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유통업체별로는 현재 GS재 재고가 충분한 데다, 정품 전환에 따른 가격 저항이 이어지면서 공급단가 인상분이 실제 시장가격에 반영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주 후판 유통가격은 시트 기준 정품이 톤당 90만~92만 원, 수입대응재는 86만~87만 원, 중국산은 85만 원 수준에서 형성된 것으로 파악된다.

<냉연도금재>
11월 첫째 주 냉연도금 판재류 시장은 별다른 반등 없이 조용한 흐름을 이어갔다. 주요 제조업체들의 인상 시도에도 불구하고 유통가격은 변동이 없었으며, 수요 부진이 계속되고 있다.

앞서 9월 포스코에 이어 현대제철도 공급가격 인상을 일부 반영했으나, 시중 유통가격은 여전히 정체 상태다.

업계에 따르면 냉연강판(CR)은 코일 기준 톤당 83만~84만 원, 열연아연도금강판(PO)은 84만 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용융아연도금강판(GI)은 톤당 98만~100만 원 선에서 형성됐다.

유통업체 관계자는 “시중 재고가 많아 시장 가격이 내려갈 우려만 있을 뿐, 오를 기미는 전혀 없다”면서, “특히 CR과 PO 모두 지난주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GI는 소폭 하락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 내 재고는 여전히 풍부한 편이다. 포스코 광양제철소 냉연공장과 현대제철의 대보수 일정에도 불구하고 실제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유통업체 관계자는 “현재 재고도 많고, 주문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며 “PO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공급이 원활한 상황”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