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산망 화재 여파···철근 MAS 도입도 ‘차질’

- 조달청, 나라장터 등 핵심 서비스 10일간 전면 중단 - 내진용 철근·H형강 입찰 지연···업계 “수급 차질 불가피” - MAS 제도 시행 수 주 지연···시장 불확실성 장기화 우려

2025-10-01     김영대 선임기자

지난 9월 26일 발생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의 여파가 장기화되면서 정부 전산망 정상화에 큰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조달청은 10월 2일 오후 10시부터 10월 12일 오후 11시까지 약 10일간 나라장터, 종합쇼핑몰, 하도급지킴이, 벤처나라 등 핵심 공공 조달 시스템의 서비스를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입찰·계약 등 공공 조달 업무가 사실상 중단되며, 대금 지급 기능도 제한된 상태다. 조달청은 “본원(대전) 전산시스템을 복구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모든 서비스를 멈출 수밖에 없다”며 양해를 구했다.

특히 조달시장을 통해 공급되는 내진용 철근과 일부 H형강 물량의 입찰이 지연되면서, 철근·형강 업계 전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연휴 직전부터 이어진 시장 불확실성에 전산 중단이 겹치면서, 업계는 단기적인 수급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번 화재로 가장 큰 차질을 빚게 된 제도는 조달청이 10월 1일부터 본격 시행 예정이었던 철근 다수공급자계약(MAS) 제도다.

MAS는 기존 단일 계약 구조에서 벗어나 다수 업체가 참여할 수 있는 경쟁 입찰 방식으로, 관수 철근 시장에 큰 변화를 예고해왔다. 하지만 나라장터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실제 도입 일정은 최소 수 주 이상 지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업계는 “MAS 시행이 미뤄질 경우 제도 안착에 시간이 더 소요되고, 기존 거래 구조에 의존하는 불확실성이 장기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철근 생산업체 중 MAS 도입 관련 가격협상을 진행한 업체는 총 3곳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경쟁입찰을 위한 조건이 충족된 셈이다. 나아가 여타 업체들도 협상 시점과 가격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