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철강 수입규제 강화… 열연 확정·냉연 반덤핑 조사 착수
- 열연 이어 냉연 제품까지 반덤핑 조사 확대 - CBAM·세이프가드 중첩, 수입업계 부담 가중 - EU 철강 소비 4년 연속 감소·가격도 9% 하락
유럽연합(EU)이 철강 수입에 대한 무역 방어 조치를 대폭 강화하고 있다.
최근 EU 집행위원회는 수입 열연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를 최종 확정한 데 이어, 냉연 제품에 대해서도 신규 반덤핑 조사를 개시하면서 수입업계의 부담이 한층 커질 전망이다.
열연 / 이집트·일본·베트남 대상 최종 판정
EU 집행위는 지난 25일부터 이집트·일본·베트남산 열연 제품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 국가별 최종 세율은 ▲이집트 전 업체 11.7% ▲일본 동경제철 6.9%, 다이도제강·JFE스틸 9.8%, 일본제철 및 기타 업체 30% ▲베트남 호아팟 그룹 0%, 기타 업체 12.1%다.
이번 조치는 유럽철강협회(Eurofer)가 2024년 6월 제소한 데 따른 것이다. 유로퍼는 이들 국가의 수출업체들이 내수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판매해 EU 철강업계의 시장점유율을 잠식하고 수익성을 악화시켰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이집트·일본·베트남산 제품의 EU 내 시장 점유율은 2021년 4.2~6.1%에서 2023~2024년 7.6~10.1%로 확대됐다.
인도산 제품은 덤핑 증거가 없어 제외됐으며, 베트남 호아팟 그룹도 정상가격 수출을 입증해 0% 관세율을 적용받았다. 이번 조치는 향후 5년간 유지되며 필요시 조기 재검토될 수 있다.
냉연 / 인도·일본·대만·튀르키예·베트남 조사 착수
EU 집행위는 지난 18일 관보를 통해 인도, 일본, 대만, 튀르키예, 베트남산 냉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사 개시를 발표했다. 이는 지난 8월 4일 유로퍼가 제소한 데 따른 것으로, 조사 기간은 2024년 7월 1일부터 2025년 6월 30일까지다.
집행위는 이번 조사에서 덤핑 마진이 10~50%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 따라 최대 수십 퍼센트의 고율 관세가 추가로 부과될 가능성이 있다. 잠정 조치는 조사 개시 후 7개월 이내 발동될 수 있으며, 실제 적용 전 4주 전에 사전 통지가 이뤄진다. 업계는 내년 상반기 중 관세 부과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다.
CBAM·세이프가드 겹쳐 수입업계 '이중고'
EU 수입업계는 이미 2026년 1월 시행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부담으로 신규 발주를 줄이고 있다. 집행위가 아직 구체적 배출권 벤치마크를 발표하지 않은 가운데, 일부 공급업체들은 톤당 40~70유로 수준의 CBAM 비용을 선반영해 가격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 올해 4월 개정된 세이프가드 조치로 각국의 ‘기타국가(other countries)’ 쿼터 사용량이 13%로 제한됐다. 그 결과 냉연 수입은 1~3월 전년 대비 26.2% 늘었지만, 4~5월에는 39.9% 급감했다. 일본, 대만, 튀르키예, 베트남은 이미 쿼터를 초과한 상태이며, 업계는 10월 1일 개방되는 4분기 무관세 물량도 CBAM 시행 전 마지막 기회인 만큼 단기간에 소진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EU는 올들어 수입 철강재 무역 방어 조치에 나섰지만, 유럽 철강 수요 부진은 여전하다. 유로퍼는 올해 EU 철강 소비가 전년 대비 0.9%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4년 연속 감소세이며, 당초 2.2% 성장 전망에서 크게 하향 조정됐다.
가격도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 MEPS 집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EU 냉연코일 평균 저가대 가격은 전년 대비 9.3% 하락했다. 7월에는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이후에도 회복세는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