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ASF] 동경제철, 스크랩 해외 유출 막고 국내 자원순환 강화 전략 外

2025-09-25     손연오 편집국장
2025 아시아스틸포럼 2일차 콘퍼런스 

2025 아시아스틸포럼(ASF)이 9월 24일부터 3일간 일본 힐튼 도쿄 오다이바 호텔에서 개최됐다. 올해로 15회를 맞은 ASF는 철강 및 금속 리사이클링 산업의 지속가능성과 미래 성장 전략을 집중적으로 조망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국제 철강 콘퍼런스다. 이번 행사는 24~25일 이틀간 포럼 세션이 진행되며, 26일에는 일본 내 주요 스크랩 및 자원 재활용 기업을 방문하는 플랜트 투어가 마련됐다.

아시아스틸포럼(ASF) 2일차 오전 세션은 철스크랩을 중심 주제로 진행됐다. 중국, 일본, 북미, 한국, 일본 기업, 그리고 동남아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연사로 나서 자국 및 글로벌 시장의 현황과 과제를 짚고 향후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중국 철스크랩 산업 현황과 지역 편중 문제
– 펑 허린 / 중국금속스크랩활용협회 부회장 겸 사무총장

펑 허린 부회장은 중국 철스크랩 산업의 현황을 상세히 짚으며, 탄소중립 전환 과정에서 스크랩 활용이 갖는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했다. 펑 부회장은 “철스크랩은 철광석을 대체할 수 있는 유일한 대체재”라며, 1톤의 철스크랩을 사용하면 약 1.6톤의 철광석과 350kg의 표준석탄, 1.7톤의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이 과정에서 약 1.6톤의 이산화탄소와 3톤의 폐기물 배출을 줄일 수 있어, 자원 절감과 환경 보호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덧붙였다

펑 부회장은 최근 중국 철강산업의 생산 조정과 경기 둔화로 스크랩 소비가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2024년 중국의 조강 생산은 10억 509만 톤으로 전년 대비 1.7% 줄었고, 이에 따라 스크랩 소비도 2억 967만 톤으로 감소했다. 2025년 상반기에는 스크랩 소비가 전년 동기 대비 11% 줄어드는 등 구조적 과제가 드러났다고 강조했다. 특히 전기로(EAF) 투입량 감소가 뚜렷해, 중국의 전기로강 비중은 여전히 10% 미만에 머물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펑 부회장은 중국 내 스크랩 자원 분포의 불균형 문제도 지적했다. 전국 스크랩 자원의 80% 이상이 동북·화북·화동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장강삼각주·보하이만·주강삼각주 지역이 핵심 권역으로 꼽힌다. 반면, 서부 내륙이나 인구가 적은 지역은 자원 부족으로 회수 체계가 취약하다. 펑 부회장은 “이 같은 지역 편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효율적 물류망 구축과 국가 차원의 회수 시스템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펑 부회장은 중국 정부가 ‘자원 절약형·환경 친화형 사회 건설’을 목표로 12·13·14차 5개년 계획을 통해 스크랩 활용 확대를 꾸준히 추진해왔다고 언급하며, 향후 탄소중립·순환경제 전략 속에서 스크랩 산업은 더욱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글로벌 철원 동향과 개도국의 전략
– 하야시 세이이치 / 일본 철강리사이클링연구소 CEO

하야시 세이이치 CEO는 글로벌 철광석·철스크랩 자원 동향과 개도국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2024년 세계 조강 생산량이 18억 8,500만 톤으로 전년 대비 1% 줄었고, 2025년 상반기에도 2.2%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강 생산의 감소는 탄소중립 정책보다는 지정학적 긴장, 사회 불안, 지진·홍수 같은 자연재해 등 외부 요인이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지역별 생산 비중을 보면 중국은 세계 조강의 53.3%를 차지하며 여전히 압도적인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러나 성장세는 둔화되는 추세다. 반면, 개도국의 비중은 20.8%까지 올라 꾸준히 상승 중이며, 선진국은 25.9%로 소폭 감소했다. 하야시 CEO는 “이 추세가 이어질 경우 2029년 전후로 개도국 생산 비중이 선진국을 추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철원 구조에서는 여전히 용선(62.5%)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스크랩이 전체의 30.6%를 차지하며 핵심 자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DRI 생산이 1억 4,400만 톤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으며, 그중 대부분은 인도에서 나왔다고 소개했다. “철광석과 석탄 의존도가 높은 개도국에서는 스크랩과 DRI를 어떻게 균형 있게 활용할지가 향후 경쟁력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스크랩 품종별 변화도 언급했다. 1970년대까지는 공정 중 발생하는 리턴 스크랩(제강사 내부 공정에서 발생한 자가발생 스크랩)이 60% 가까이 차지했으나, 현재는 노후 스크랩 비중이 52% 이상으로 가장 크다. 그는 “세계적으로 노후 스크랩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이 큰 과제가 되고 있으며, 개도국은 자원 순환 체계를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야시 CEO는 철스크랩의 글로벌 유통량이 2024년 약 9,670만 톤으로, 2010년 이후 꾸준히 1억 톤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특히 선진국에서 개도국으로의 이동이 두드러지며, 이는 철광석이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이동하는 흐름과 정반대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EU의 폐기물 수출 규제가 본격화되면서 비OECD 국가들이 스크랩 수입에 제약을 받는 점도 향후 국제 시장에서 중요한 변수로 꼽혔다.

통상 환경 속 글로벌 스크랩 공급망의 기회와 도전
– 아담 셰이퍼 / 북미재활용산업협회(ReMA) 국제통상·글로벌 담당 부사장

아담 셰이퍼 부사장은 글로벌 스크랩 공급망을 둘러싼 기회와 도전을 설명했다. 그는 2024년 미국이 총 280억 달러 규모의 재활용 원료를 수출했으며, 그 중 철스크랩 수출액은 56억 달러로 세계 최대 수준이라고 소개했다. 미국은 세계 최대의 고품질 재생 자원 수출국으로서, 시장 접근성을 유지하는 것이 산업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강화한 232조 철강·알루미늄 관세와 긴급 국경관세가 글로벌 공급망을 흔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철스크랩은 관세 적용에서 제외되어, 여전히 국제 시장 내 기회 요인을 지니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미국 철스크랩 주요 수출국으로 터키, 멕시코, 방글라데시, 대만, 인도 등을 꼽으며, 이들 지역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핵심적 수요처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책적 불확실성이 커지더라도, 재활용 원료에 대한 전 세계적 수요는 구조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다”며,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무역 질서 속에서 스크랩 산업의 전략적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사강그룹, 탈탄소 시대 제강사의 전략
– 마오 루이 / 사강 환경기술부 부총괄 엔지니어

마오 루이 엔지니어는 탈탄소화 환경에서 중국 사강그룹의 저탄소 전략과 실천 사례를 소개했다. 사강은 1975년 설립된 이후 현재 연간 4,000만 톤 이상의 생산 능력을 갖춘 중국 최대 민영 제강사로, 전로와 전기로를 병행 운영하고 있다. 특히 전기로 설비만 600만 톤 규모를 확보해 중국 민영기업 가운데 가장 큰 전기로 기반 생산 기지를 운영 중이다.

그는 사강이 2021년 설립한 탄소중립위원회와 탄소중립연구소를 중심으로 ‘듀얼 카본(碳达峰·碳中和)’ 로드맵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는 △공정별 에너지 효율 진단 △초박판(UTS) 기술 도입 △전로·코크스·고로 가스 회수율 99.5% 달성 △연간 60억 kWh 규모의 자가발전(전력 자급률 55% 이상) △슬래그·분진 자원화 100% 실현 등을 핵심 실적 사례로 제시했다.

특히 초박판(UTS, Ultra Thin Strip) 기술은 용강에서 직접 2mm 이하 박판을 뽑아내는 혁신 공정으로, 기존 열연 대비 탄소 배출을 1/4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또 사강은 세계 최대 규모의 회전로 환원로(RHF)를 가동해 제철 분진과 슬러지 60만 톤을 매년 재활용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60% 이상의 아연을 회수하고 있다. 이러한 순환 시스템은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제철소 구축을 목표로 한다.

마오 루이 엔지니어는 “전기로 확대와 초저탄소 기술 상용화가 곧 제강사의 생존 전략이자 경쟁력”이라며, 향후 사강은 △수소환원 제철(H2 DRI) △재생에너지 전력 기반 EAF 운영 △저탄소 브랜드 강재 개발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글로벌 ‘그린스틸’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동경제철, 스크랩 해외 유출 막고 국내 자원순환 강화 전략
– 사토 타쿠야 / 동경제철 구매부 스크랩 전략 전문가

사토 타쿠야 전문가는 일본 최대 전기로 제강사인 동경제철(東京製鐵, Tokyo Steel)의 스크랩 조달 전략과 저탄소 제품 전략을 발표했다. 동경제철은 1934년 설립된 이후 현재 4개 공장을 운영하며 연간 약 320만 톤의 조강을 생산한다. 이는 일본 전체 전기로 생산량에서 독보적인 1위이며, 전체 조강 생산 기준으로는 일본 4위 규모다.

그는 발표에서 동경제철의 비전인 “Eco Vision 2050”을 강조했다. 이 전략은 2050년까지 연간 1,000만 톤 생산체제와 탄소중립을 동시에 달성한다는 목표다. 핵심은 △전기로 기반의 스크랩 업사이클링 △재생에너지 확대 △자동차·건축 등 신수요 산업 진출이다. 특히 동경제철은 자동차용 그린 EV 강판을 개발해, 폐자동차에서 회수한 노후 스크랩을 전기로에서 재활용하여 다시 자동차 강판으로 공급하는 업사이클링 모델을 제시했다.

사토 전문가는 또한 동경제철은 2024년 7월부터 판매를 시작한 저탄소 강재 브랜드 ‘호보 제로(ほぼゼロ, Nearly Zero)’를 소개했다. 이 제품은 전기로 기반 생산과 재생에너지 전력 활용을 통해 일반 고로 제품 대비 CO₂ 배출을 90% 이상 줄였다. 실제로 제품 1톤당 배출량은 약 0.1톤 CO₂ 수준으로, 고로 기반 강재(2.0톤 CO₂/톤)에 비해 획기적이다. ‘호보 제로’는 첫해 1만 5,000톤이 판매되어 약 4,500톤의 CO₂ 감축 효과를 달성했다.

그는 “전기로 강재의 비중을 늘리는 것이 곧 탈탄소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이라며, 향후에는 △냉연코일 시장 진출(2027년 오카야마 공장 가동) △저탄소 인증 강재 확대 △신재생 전력 사용과 전력수요 대응(Demand Response)을 통해 순환형 산업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동경제철은 철스크랩 조달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테라이트 야드(Satellite Yard) 개설 전략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4개 제강소로 들어오는 물량만을 기다리는 방식에서 벗어나 직접 항만 등 주요 거점으로 나가 스크랩을 모으는 ‘적극 수집형 전략’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회사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연간 약 7백만 톤 규모의 스크랩 수출을 억제하고, 철강 자원의 100% 국내 순환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동경제철은 이를 위해 2022년 나고야항, 2024년 아마가사키항, 2025년 도쿄만 후나바시항에 순차적으로 사테라이트 야드를 개설했다. 또한 스크랩 구매가격을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고정가격제를 도입해 공급업체와의 신뢰를 강화하고 있다. 회사 측은 이러한 전략이 단순한 원료 확보를 넘어 자원순환과 업사이클링을 통한 지속가능한 철강 산업 발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베트남·싱가포르의 친환경 철강 전략
– 야프 이 진 / 클라이밋 아시아 기술책임자

야프 이 진 기술책임자는 동남아시아의 친환경 전환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베트남 정부가 2022년 ‘건설 부문 기후변화 행동계획’을 수립하고,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2025년부터 ETS(배출권거래제) 시범사업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싱가포르에서는 NatSteel 등 주요 철강사가 ESG 규제와 국제 시장 수요 변화에 맞춰 ‘그린 스틸’ 생산 확대에 나서고 있다. 그는 “동남아시아는 글로벌 규제와 투자 흐름 속에서 빠른 전환을 요구받고 있으며, 특히 제품 전 과정평가(LCA)를 기반으로 한 저탄소 인증이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호아팟 그룹(베트남), NatSteel 홀딩스(싱가포르) 등 지역 대표 기업들의 탄소 감축 투자 사례를 소개하며, 아시아 시장에서도 다국적 기업과 동일한 수준의 지속가능성 기준을 충족하는 것이 경쟁력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건축·인프라 수요가 급성장하는 동남아에서는 친환경 철강이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필수 요건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