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스틸 특약] 중국, 8월 인니산 STS 수입 폭증...그 원인은?
- 인니 Yongwang 재가동으로 냉연 수입 급증 - 8월 인니산 수입 9만 톤...전월비 106.4% 폭증
본 기사는 스틸데일리의 중국 제휴사 마이스틸(Mysteel)이 제공한 기사입니다. 중국어 원문을 번역한 기사로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이스틸의 동의 없이 원문 및 본 기사의 무단 전재를 금합니다.
Ⅰ. 중국 STS 수출입 현황
1. 중국 STS 수입량
해관통계에 따르면 2025년 8월 중국 STS 수입량은 약 11만 7,200톤으로 전월 대비 4만 4,200톤(60.5%) 증가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는 1만 7,600톤(17.7%) 늘었다. 전월 대비 수입이 증가한 이유는 인도네시아산 냉연과 반제품 수입량은 전월 대비 3만 5,200톤, 1만 7,100톤 늘었기 때문이다.
1~8월 누적 중국 STS 수입량은 약 101만 7,6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만 9,400톤(23.3%) 감소했다.
2. 중국 STS 수출량
2025년 8월 STS 수출량은 약 44만 7,800톤으로 전월 대비 3만 1,600톤(7.6%)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4만 100톤(8.2%) 줄었다. 전월 대비 수출이 소폭 증가한 이유는 냉연과 열연이 각각 1만 6,700톤, 6,700톤 증가했기 때문이다.
1~8월 누적 중국 STS 수출량은 약 336만 4,2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만 800톤(3.1%) 증가했다.
3. 중국 STS 순수출량
2025년 8월 STS 순수출량은 약 33만 600톤으로 전월 대비 1만 2,600톤(3.7%) 감소했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5만 7,800톤(14.9%) 줄었다. 1~8월 누적 순수출량은 약 234만 6,5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만 200톤(21.2%) 늘었다.
Ⅱ. 주요 수입국 현황
중국의 주요 STS 수입국은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등이다. 이들 3개국으로부터의 8월 수입량은 10만 5,000톤으로 전체 수입의 89.4%를 차지했다. 1~8월 누적 수입량은 약 91만 4,000톤으로 전체의 89.9%를 차지했다.
8월 기준 수입 상위 5개 지역 수입량은 약 10만 9,000톤으로 전체의 92.8%였으며, 1~8월 누적 수입량은 약 94만 5,000톤으로 전체의 92.9%를 차지했다.
그중 중국의 인도네시아산 STS 수입량은 약 9만 5,300톤으로 전월 대비 4만 9,100톤(106.4%) 늘었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는 2만 3,500톤(32.7%)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열연은 약 1만 4,300톤으로 전월 대비 17.5%, 전년 대비 51.7% 감소했고, 냉연은 약 5만 9,700톤으로 전월 대비 3만 5,200톤(143.5%) 증가, 전년 대비 4만 3,400톤(267.1%) 증가했다.
슬래브는 약 500톤으로 전월 대비 52.9%, 전년 대비 1만 2,200톤(96.2%) 감소했으며, 빌릿 및 기타 반제품은 약 1만 9,900톤으로 전월 대비 1만 7,100톤(612.4%) 증가, 전년 대비 7,100톤(55.9%) 늘었다.
인도네시아 Yongwang의 설비가 7월 중순 정비를 마치고 정상 가동을 재개하면서 8월 냉연 수입량이 정상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분석된다.
1~8월 누계로는 인도네시아산 STS 누적 수입량이 약 81만 8,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만 5,600톤(27.2%)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열연 수입량은 약 13만 400톤으로 전년 대비 2만 700톤(13.7%) 줄었으며, 냉연 수입량은 약 55만 1,300톤으로 8,900톤(1.6%) 증가했다. 슬래브는 4만 7,700톤으로 6만 6,200톤(58.1%) 감소했고, 빌릿 및 기타 반제품은 8만 3,600톤으로 22만 8,600톤(73.2%) 줄었다.
Ⅲ. 주요 수출국 현황
8월 중국 본토 상위 10개 지역 수출량은 약 23만 3,000톤으로 전체의 52.08%를 차지했다. 1~8월 누적 수출량은 약 175만 2,000톤으로 전체의 52.06%였다.
8월 상위 20개 지역 수출량은 약 34만 1,000톤으로 전체의 76.2%를 차지했으며, 1~8월 누적 수출량은 약 261만 8,000톤으로 전체의 77.83%를 차지했다.
내년 유럽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을 앞두고, EU 수입업체들이 비용 부담을 우려해 주문을 서두르면서 쿼터 경쟁이 심화됐다. 3분기 STS 수입쿼터는 개시 이후 빠르게 소진됐으며, 8월 여름휴가가 끝난 일부 기업의 수요 증가도 겹치면서 중국의 EU향 STS 수출은 전월 대비 1만 3,700톤(66.2%) 늘어난 3만 4,500톤을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도 1,800톤(5.5%) 증가했다.
8월 중국의 이탈리아향 수출은 전월 대비 1만 4,000톤(355.7%) 급증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2,500톤(12.2%) 감소했다. 1~8월 누적 수출량은 약 6만 6,9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만 8,000톤(21.4%) 줄었다. 글로벌 STS 소비가 부진한 상황에서 이탈리아향 수출은 전년 대비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이러한 가운데 8월 미국은 EU, 일본, 동남아시아 등 69개국을 대상으로 10~41%의 수입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으며, 일부 국가는 협상에 따라 10월까지 적용이 유예됐다. 이번 행정명령에는 '40% 우회수출 징벌적 관세'가 포함돼 중국의 동남아향 우회수출 모델에 직접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8월 중국의 동남아향 STS 수출은 약 11만 5,000톤으로 전월 대비 1만 2,000톤(9.5%) 줄었고, 전년 동월 대비로도 6,100톤(5%) 감소했다.
다만 1~8월 누적 수출량은 약 93만 2,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만 4,600톤(23%) 늘었다. 이는 같은 기간 중국 STS 전체 수출 증가량(10만 100톤)을 웃도는 수준이다.
※ '이곳'을 누르면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