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관 업계, KS 인증 확산···K-스틸법 타고 공공시장 확대
- 올해 8월 누적 강관 KS 인증 건수 18건 기록 - 강관 업계, KS 취득으로 공공 시장 진출 확대 - K-스틸법 시행시 국산 철강 우선 구매로 수요 기대감↑
국내 강관 업계가 한국산업표준(KS) 인증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KS 인증은 품질 신뢰를 확보하고 공공 조달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핵심 요건이다. 최근 국회에 발의된 'K-스틸법'과 맞물리며, 국산 강관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본지 조사에 따르면 올해 1월~8월 KS 인증을 취득한 강관 업체는 12곳, 인증 건수는 18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8곳·13건)과 비교하면 각각 4곳, 5건 늘어났다. 업계의 품질 경쟁력 확보 의지가 수치로 확인된 셈이다.
대기업·중소 업체별 인증 품목 차별화 뚜렷
KS 인증 품목은 비닐하우스용 도금강관,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각형 강관,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등 다양하다.
세아제강·휴스틸 등 대기업은 강관 말뚝과 같은 고기능성 강관 중심으로 인증 품목을 확대해 시장 우위를 굳히는데 주력하고 있다. 반면, 유일강관·신성씨앤에스·동부강관 등 중소 업체들은 비닐하우스용 강관, 전선관 등 틈새 품목을 중심으로 인증을 늘리며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향후 중국 업계의 KS 인증 취득 증가 가능성 주목
국내 업체뿐 아니라 중국 기업들의 KS 인증 취득도 늘고 있다. 제남매과관도기술유한회사는 올해 2월 배관용·압력배관용 탄소강관에 대한 KS를 취득했으며, 앞서 2024년 8월에는 제남유신기계제조유한공사도 강제 용접식 관 플랜지에 대한 KS 인증을 확보했다.
KS 인증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한국 시장에 유통되는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다. 그러나 최근 중국산 등 해외 철강 제품까지 비교적 손쉽게 인증을 취득하면서, K-스틸법이 지향하는 ‘국산 보호’ 취지와는 어긋날 수 있다는 우려가 업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현재 KS 심사를 담당하는 공인기관이 여러 곳에 분산돼 있어 관리 역량과 품질 심사의 엄격성에도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승인 기준을 한층 강화해 인증 문턱을 높이고, K-스틸법 취지에 맞게 국산 우선 보호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업계 안팎에서 힘을 얻고 있다.
K-스틸법, 공공 시장 진출 확대 기대
지난 8월 발의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철강기술 전환 특별법(일명 K-스틸법)'은 정부가 철강 업계의 기술 제품을 우선 구매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강관 업계는 공공 기관 납품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해당 법안은 9월 9일 국회 소관위원회에 상정됐으며, 연말 본회의 의결 가능성이 크다. 이후 대통령령·장관령 제정을 거쳐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 시행될 전망이다.
한국철강협회 관계자는 "산업통상자원부와 TF를 구성해 시행령(안) 마련을 준비 중에 있다"라며 "법안이 시행되면 강관 업계의 KS 인증 취득은 더욱 늘어나 저가 수입산을 견제하고 국산 철강재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강관 업계는 KS 인증 확대를 통해 품질 경쟁력을 높이고 제품군을 다각화하는 동시에, K-스틸법 시행과 맞물려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