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전망-열연·후판] 낙관론 솔솔, 단 변수도
- 공급가격 인상 속 유통가격도 추가 상승 준비 - 열연, 수입재 주도 속 국산도 뒤따라 반등 조짐 - 후판, AD 최종 판정에도 상승 모멘텀은 제한적 - 9월 판매 개선 기대, 단 황금연휴가 최대 변수
지난달 상승 흐름을 타기 시작한 유통가격도 이달에도 달릴 준비를 마쳤다.
메이커들은 가격 인상으로 바람을 잡고 있다. 일례로 현대제철은 8월 유통향 열연 출하분 기준 톤당 2만 원 인상한데 이어 9월에도 추가 인상을 계획하고 있으며, 포스코 또한 9월 주문투입분부터 톤당 3만 원 인상한다.
반덤핑 이슈로 인해 추가 가격 인상 가능성을 활짝 열어둔 상태다. 유통업계로서는 가격 인상분 반영을 향한 발걸음을 또 한 번 재촉하게 됐다.
열연, 수입재 강세에 국산도 ‘움찔’
고로사와 유통업체 사이에서 열연 가격 인상 기류가 확산되는 배경에는 ‘AD(반덤핑) 이슈’가 자리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기획재정부의 잠정관세 결정 시점을 9월 초~중순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과거 사례를 감안할 때 부과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이와 맞물려 9월 들어서는 잠정관세 우려로 중국산 유통향 열연 물량이 눈에 띄게 줄어드는 모습이다.
최근 인도네시아를 비롯해 대만,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들이 한국향 열연 오퍼를 내고 있으나, 국내 유통가격과 비교했을 때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거래는 여전히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에 따라 가격 상승세는 수입재가 주도하고 있다. 8월 초 톤당 70만 원 수준이던 중국산 유통가격은 8월 말 76만 원까지 급등했다. 반면 국산 정품과 수입대응재는 톤당 2만~3만 원가량 오르는 데 그쳤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9월 둘째 주에는 다수 유통업체들이 전주 대비 톤당 2만~3만 원 오른 수준으로 호가를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재 가격이 하단부터 반등하면서 상단 가격대도 자연스럽게 끌어올릴 수 있다는 기대감이 시장 전반으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중국산 후판 AD 최종 판정...시장 영향은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AD) 최종 판정이 내려졌지만, 국내 후판 유통시장의 분위기는 열연만큼 뜨겁지 않다.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지난 8월 28일 중국산 탄소강 후판에 대해 27.91~34.1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최종 판정했다.
다만, 중국 내 9개 주요 수출업체가 향후 5년간 수출가격과 물량 약속을 이행할 경우 관세를 유예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이번 조치는 기획재정부 장관 승인을 거쳐 오는 9월 27일까지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바오산, 장수사강 등 중국 주요 철강사들이 연간 쿼터와 최저가격 약속을 조건으로 유예 대상에 포함됐다.
시장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잠정관세만큼의 효과를 내기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가격 약속을 통해 중국산 저가 물량 유입 억제라는 취지는 살릴 수 있으나, 결국 국내 후판 시세가 중국산 물량 유입 여부에 따라 좌우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한편, 지난 4월 잠정관세 부과 이후 중국산 후판 재고가 유통시장에서 점차 진되면서 구색 부족 현상이 나타났고, 이에 따라 시세도 점차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당분간 강보합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건설 등 주요 수요산업의 부진으로 뚜렷한 상승 모멘텀은 부족하다고 진단한다. 후판 메이커들 역시 아직 공식적인 가격 정책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이에 따라 유통업계는 단기적인 급등보다는 9월 이후 소폭의 인상 시도가 이뤄지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
8월에 이어 9월에도 판매 개선 기대
지난 8월 가격 인상과 판매라는 소기의 성과를 거둔 열연 및 후판 유통업계가 9월에도 계절적 요인과 AD 이슈에 힘입어 낙관론을 키워가고 있다.
최소한 지난달보다 판매가 늘어날 것이라는 심리적 기대감이 형성된 가운데, 중국산 수입재 유입 차단과 메이커들의 가격 인상 정책이 맞물리며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8월에 이어 9월에도 판매 측면에서 한 차례 더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낙관론이 시장 전반으로 확산되는 가운데에서도 변수가 없지는 않다. 업계에서는 9월 중순까지는 이러한 분위기가 유지되겠지만, 10월 초 이어지는 긴 연휴가 변수로 꼽힌다. 일부 유통업체가 월간 판매 목표를 맞추기 위해 연휴 직전 무리하게 출혈 경쟁에 나설 가능성도 나온다.
후판 역시 제한적인 가격 조정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수요 회복과 맞물리지 않는 한 판매 및 물량 측면에서 예년과 큰 차이를 만들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9월 유통시장은 열연과 후판 모두 전월보다 개선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수요산업 부진과 10월 황금연휴라는 변수를 넘어, 어느 정도의 강도로 가격 인상과 판매 확대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