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철근 시장 안정화 칼 뽑았다···‘사전 주문제’ 도입
- 무분별한 출하 경쟁 차단···재유통 구조 개선 목표 - 유통사별 물량 상반기 실적 기준···초과 출하는 불가 - 재고 관리·생산계획 안정화 등 다각적 효과 기대
현대제철이 새로운 철근 유통 정책을 내놓았다. 오는 9월부터 철근 판매를 ‘유통 사전 주문제’로 전환해 무분별한 출하 경쟁을 줄이고 재유통 구조를 개선하겠다는 각오다.
유통 사전 주문제는 매월 말 자사 주요 유통 판매점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통해 다음 달 소요량을 사전 협의하는 방식이다. 유통사별 출하 물량은 올해 상반기 실적을 기준으로 초과 물량은 수용하지 않을 방침이다.
이와 관련 현대제철 관계자는 “금주부터 주요 고객사와 9월분 소요량 협의를 시작했다. 앞으로는 매월 말 수요조사를 진행해 익월 출하량과 생산량을 조정할 예정이다.”라며, “무리한 출하 경쟁을 피하고 재유통 구조를 줄이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건설산업 위축에 따라 수요 감소와 더불어 재고 이동, 중복 거래가 심화되며 가격 질서를 흔드는 구도가 고착화된 것이 사전 주문제를 도입하게 된 배경으로 풀이된다.
특히, 철근 판매가격은 하락세를 이어가는 반면 원재료인 철 스크랩은 공급 부족으로 오히려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제강사들의 원가 부담은 커지는 상황이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무리한 출하 경쟁은 유통업계의 수익 악화뿐 아니라 생산업체에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게 회사 측 입장이다.
사전 주문제 정착으로 △유통사의 무리한 중복거래 축소 △재고 관리 효율화 △제강사의 생산계획 안정화 등 다각도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우선적으로 올해 하반기까지 제도를 운영하며 시장 반응을 살필 계획이다. 추후 시황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경우에 따라 연장 가능성도 열려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현대제철의 이번 조치가 다른 제강사로 확산될지 주목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유통 시장 혼란을 막고 안정적인 수급 체계를 마련하려면 생산업계의 정책적 대응이 필수적”이라며 “현대제철의 시도가 하나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