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중 시황] 철근價, 하락세 흔들···반등 신호는 휴가 이후?
- 여름철 비수기 판매 경쟁 격화∙∙∙철근價 뒷걸음질 - 제강사 고가 정책 유지 불구 급한 유통시장 - 재고 소진 기대 속 8월 반등 가능성 놓고 시각 엇갈려
지난주에 이어 금주 초반까지도 가격 약세가 지속되는 중이다. 여름철 휴가와 더불어 계절적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시중 철근 유통가격은 국산 기준 톤당 72만 5,000원(SD400 10mm 기준) 내외에서 형성됐다. 수입산도 일정 수준의 격차를 두고서 가격이 하락한 모습을 보였다. 일본산 기준 톤당 69만 5,000원 수준이다.
제강사의 강경한 가격정책과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이어지는 대규모 비가동을 달라진 바가 없다. 여전히 유통가격 대비 고가 마감을 진행하겠다는 뜻을 시장에 전달하고 있고 비가동도 정상적으로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달라진 점이 있다면 유통시장의 분위기다. 판매경쟁이 심화되면서 가격 하방압력이 다분히 높아진 모양새다.
여름철 무더위로 인해 오전에만 공사를 진행하는 현장들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수요가 위축됐고, 나아가 8월 초부터 본격화되는 여름철 휴가로 인해 영업활동을 진행하는 데에 있어서 조급함이 싹텄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예기치 못하게 길어진 장마로 7월 중순까지 판매량이 미미했다. 이후에도 정상적으로 매출을 회복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없다 보니 가격을 낮춰서라도 매출을 확보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업계에서는 8월 여름 휴가철 이후 가격 방향성을 두고서 갑론을박이 펼쳐지는 중이다. 본격화되는 혹서기로 인해 수요와 가격측면에서 부정적인 시황이 펼쳐질 수 있다는 시각이 있는가 하면, 휴가철이 지나고 나면 가격이 다시금 회복할 수 있을 것이란 의견도 제기된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대규모 비가동으로 인해 재고 소진에 가속도가 붙는 시점을 8월 초로 예상하고 있다. 근래 최대 변수인 휴가철이 끝나고 나면 재고 감소에 힘입어 7월 초 수준까지는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는 중”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