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 강관] 구단가와 신단가 혼재···수요 업계 '관망 모드'
- 주요 강관 제조 업계 7말8초 하계휴가 돌입 - 국내 시장價, 탄소강 강관 위주로 약세 지속
7월 셋째 주 강관 시장은 거래 둔화 속에서 좀처럼 활기를 찾지 못하고 있다. 탄소강 강관 제조사들은 이달 초 단가 인상을 예고했지만, 시장에서는 아직까지 드라마틱한 매입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고 있다. 유통가와 수요가 모두 구단가와 신단가가 혼재된 상황에서 일단 관망세를 이어가는 분위기다.
현재 시장 가격은 탄소강 구조용 2㎜ 흑관은 톤당 80만 원 초반대, 배관용 100A 흑관은 톤당 90만 원 초반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포스코 STS 304 열연 강관은 톤당 340~350만 원 수준, 포스코 STS 316L 열연 강관은 톤당 680~690만 원 수준에 형성돼 있다.
탄소강 및 STS강 강관 업계는 공통적으로 거래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는 입장이다. 특히 탄소강 강관 업계는 단가 인상 발표 이후 가수요가 동반될 것이란 기대와는 달리, 수요 측에서는 구매에 여전히 신중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아직까지 월 초와 비교해 시황은 큰 변함이 없는 가운데, 업계의 시선은 조만간 발표될 수입산 열연에 대한 무역위의 반덤핑(AD) 예비판정 결과 발표에 쏠려 있다. 이번 AD 이슈가 국내 유통 가격에 미칠 파급 효과에 관련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또한 앞서 7월 초 정부가 발표한 31.8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은 시장 기대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했다. 이 중 건설 경기 활성화를 위한 예산은 2.7조 원에 불과해, 구조관·배관재 업계가 기대했던 단기 판매 회복은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평가다(관련 기사☞"2.7조 원 그친 건설 추경" 배관재 업계, 하반기 버티기 돌입).
여기에 미국의 수입 철강재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로 인해 강관사들의 수출 여건이 악화되면서 내수·수출 양측 모두 돌파구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편, 이달 하순부터 대부분의 조관사들은 하계휴가에 돌입할 예정이어서 시장 분위기는 당분간 더 가라앉을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하계휴가 전까지는 신단가 반영 여부는 불투명하다"라며 "당분간은 관망과 정체가 반복되는 시장 분위기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