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열연·후판 유통업체 A사, 기업회생 신청…업계 “충격파 상당”

- 거래처 10여 곳 피해...유통업계 전반 자금경색 우려 - 수요 침체 속 부실 경각심 확산...영업 위축 불가피

2025-07-14     박현욱 선임기자
이 사진은 기사와는 관계 없습니다

최근 부산 지역의 열연·후판 2차 유통업체인 A사가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면서, 관련업계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국내 주요 1차 가공센터들이 A사의 거채처로 다수 얽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유통업계의 유동성 위기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부산회생법원에 따르면 A사는 지난 3일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고, 11일 법원은 포괄적 금지명령을 공고했다. 포괄적 금지명령이란 법원의 결정이 있을 때까지 채권자나 담보권자 등이 강제집행이나 가압류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없도록 막는 조치다.

이번 A사의 회생 신청으로 인해 관련 유통업계 채권자는 10여 개 업체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국내 주요 1차 열연·후판 가공센터들이 대거 포함돼 있어 업계 전반의 영업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일부 가공센터의 경우 피해 규모가 수억 원에 달하며, 은행권을 제외하고, 유통업체에 확인된 피해액만 최소 30억 원이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업계는 이번 사태의 원인으로 전반적으로 시장 상황자체가 위축된 상황에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의 현실화와 중도금 보증 이행청구 등으로 인한 유동성 악화를 꼽고 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오랜 업력을 가진 업체가 회생절차를 밟은 데 따른 업계 전반의 충격이 크다”면서, “특히 수요 침체로 가공센터들의 2분기 실적 악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이번 사태로 거래처 간 결제 조건이 더욱 보수적으로 바뀌고 있어 영업 확대도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여름철 비수기와 휴가 시즌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영업일수 감소와 수요 부진이 겹치면서 유통 현장의 ‘움직임’도 한층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일각에서는 기업회생제도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나오고 있다. 기업회생은 원칙적으로 도산 위기에 처한 기업에 재기의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지만, 이를 책임 회피 수단으로 악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기업회생 절차의 남용을 막기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기업 회생 절차가 까다로워지면, 정상적인 회생 가능성이 있는 기업까지 청산 위기에 몰릴 수 있지만, 고의적인 미정산 여부에 대해 법원이 더욱 엄격하게 심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