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철강협회, 美 철강 관세에 심각한 타격...“EU 차원 대응 시급”
- 대미 수출길 막힌 유럽...‘공급 과잉’ 역풍 우려 - 협상 시한 8월 1일...타결 지연 시 위기 장기화 - 유럽철강협회, 쿼터 전면 보완 및 품목 확대 요구
유럽철강협회(EUROFER)는 8일(현지시간) 미국의 유럽산 철강에 대한 50% 관세 부과가 유럽 철강산업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며, EU 차원의 강력하고 실효성 있는 보호 조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협회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 2018년 ‘무역확장법 232조(Section 232)’를 근거로 철강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따라 미국으로 수출되지 못한 철강 물량의 약 3분의 2가 EU 시장으로 유입되면서, 유럽 시장은 저가 수입재로 빠르게 잠식됐다.
EU는 대응책으로 2015~2017년 평균 수입량을 기준으로 관세할당제도(TRQ)를 도입했고, 미국도 연간 380만 톤 규모의 TRQ를 설정해 기존 수출량(연 460만 톤)보다 축소된 수준을 적용해 왔다.
하지만 올해 3월 미국은 유럽산 철강에 대한 TRQ 및 예외 조치를 폐지하고 다시 전면적인 관세를 부과했으며, 6월에는 관세율을 50%로 인상했다. EUROFER는 이로 인해 유럽산 철강의 대미 수출이 사실상 중단됐으며, 해당 물량이 다시 EU 내로 유입돼 시장 불균형을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협회는 미국의 이번 관세 인상 조치가 EU 철강산업 전반의 위기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8년 이후 EU 내 철강 생산은 3,100만 톤 줄었고, 현재 수입 철강이 EU 시장의 27%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약 1만 8,000개의 철강 관련 일자리가 감소하거나 감축이 예고됐다.
이에 협회는 현행 EU의 철강 무역 방어 체계는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면서 보다 효과적이고 일관된 무역 보호 조치를 조속히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응 방안으로 ▲관세할당제도의 전면 보완 ▲모든 수출국에 대한 동일 기준 적용 ▲가공제품 등 철강 파생품목까지 포함한 전 품목 대상 조치 등을 제안했다.
한편, 다수의 유럽 철강업체는 EU와 미국은 오는 8월 1일까지 철강 무역 관련 협상을 타결해야 하며, 협상이 지연되거나 결렬될 경우 유럽 철강산업의 위기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