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관 소재 동향] 무기력한 시황, 거래 실종에 속수무책
- 판재류 유통 가격 지난주 대비 약보합세 - 거래 둔화 여전, 7월 업황 불확실성 지속
강관 소재 시장은 조용한 거래 분위기 속에서 뚜렷한 방향성을 잡지 못한 채 수요가들의 구매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 판재류 유통 가격은 지난주와 비교해 큰 변화 없이 약보합세를 보이며, 본격적인 시황 반등의 기미는 좀처럼 감지되지 않고 있다.
7월 초 국내 유통 가격은 수입대응재 열연은 톤당 70만 원 후반대, 수입 열연은 톤당 70만 원 초반대에서 거래됐다. 수입대응재 후판은 톤당 80만 원 중후반대, 수입 후판은 톤당 80만 원 초중반대에 형성되며 지난주 대비 약보합세가 나타났다.
국내 유통 업계는 고객들의 구매 문의가 줄어들면서 이달 판매 목표량 달성 역시 쉽지 않을 것이란 의견들이 다수 포착되고 있다.
냉연도금재 유통 가격도 약보합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HGI는 톤당 90만 원 초중반대, GI는 톤당 90만 원 후반대, 포스맥은 톤당 130만 원 초반대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국산 STS 304 열연 판재는 톤당 340~345만 원, 수입 STS 304 열연 판재는 톤당 280~285만 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특히 중국밀들의 한국향 열연 수출 오퍼 가격은 8월 선적분 톤당 470~475달러(CFR, 한화 약 65~66만 원 수준)에 제시되면서 수요가들은 적극적인 구매에 나서지 않고 있어, 실거래는 더욱 한산한 모습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세아제강과 현대스틸파이프를 필두로 강관 업계는 판매 가격 인상 움직임에 나서고 있다. 이에 주요 배관재 제조사들도 동반 인상을 저울질하고 있으며, 이달 말 시장 가격 변동 여부에 업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거래 분위기는 활기를 찾지 못한 채 침체 국면이 지속되고 있어, 다음주 국내 시장이 반등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