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무역협상 시한 연장 가능하지만 필요 없다”

- “연장 용의 있지만 필요 없을 것”…7월 8일 시한 유지 시사 - 미국, 15개국과 협상 중…수십 개국에 협정안 담은 서한 발송 계획 - 베선트 재무장관 “성실히 임하면 연장 가능…의지 없으면 제외”

2025-06-12     김은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8일(현지시간)로 예정된 무역협상 시한을 연장할 용의는 있지만, 실제로 연장이 필요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날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성실히 협상에 임하는 일부 국가에 대해서는 관세 유예가 연장될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1일 워싱턴DC 케네디센터를 방문한 자리에서 '무역 협상 기한 연장 용의가 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렇다. 하지만 우리가 그럴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그는 현재 한국, 일본, 유럽연합(EU)을 포함해 약 15개국과 무역협상이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미국은 향후 1~2주 내 수십 개국에 무역협정 조건을 명시한 서한을 발송할 예정이며, 해당 국가는 이를 수용하거나 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무역협상을 주도하고 있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같은 날 하원 세입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9일 발표한 90일간의 상호 관세 유예 조치를 7월 9일 이후로 연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그는 미국의 주요 교역국들이 무역협상에서 '성실한 협상 의지(good faith)'를 보일 경우에 한한다고 강조했다.

베선트 장관은 현재 미국이 18개 '중요 교역 파트너국'과 무역협정을 추진 중이라고 밝히며, “유럽연합(EU)처럼 성실히 협상에 임하는 국가나 블록에 대해서는 유예 기한을 연장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반면, 협상 의지가 없는 국가에 대해서는 연장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이번 발언은 트럼프 행정부가 지금까지 유지해온 ‘기한 내 최소한 합의의 틀이라도 있어야 연장 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에서 일정 부분 유연성을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백악관은 현재 약 6개국과 무역협상에서 막바지 조율 단계에 있으며, 이 가운데 영국과는 공식 합의를 마쳤고, 중국과는 2차 고위급 협상을 통해 협정의 틀(framework agreement)을 도출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