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 창립 50주년 기념/철강史料 이야기 ⑤ 철강산업 초기인 `70년대 한국 철강산업의 성장전략은?
- 한국개발연구원, '한국철강공업의 성장' 책자 발간 - 책자는 '스틸데일리' 서정헌 박사 기증
한국개발연구원은 `74년 철강산업의 성장과장을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업종별 소비시장 구조의 변화추이를 분석, 예측함과 동시에 세계 철강수출의 구조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철강산업이 지향해야 할 이상적인 성장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철강공업의 성장' 책자를 발간했다.
동 연구는 당시 기간산업인 철강제품이 다양화되고, 강종별 불균형으로 향후 우리나라 경제에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어, 철강제품의 원활한 수급계획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 발간되어 한국철강산업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됐다.
본 연구는 3부로 구분된다. 제1부에서는 한국철강산업의 성장과정을 분석하고, 제2부에서는 한국철강산업의 수요분석과 예측을 제시하였으며, 제3부에서는 한국철강산업의 성장전략을 기록했다.
제1부에서는 철강산업의 의의, 철강 생산공정과 철강재의 종류 및 용도, 철강수요부문 분류 등 철강산업의 일반적 내용을 서술했다.
제2부에서는 경제예측에 사용되는 각종 통계적 기술을 정리했으며, 철강산업의 경기적응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철강경기동향 지표를 작성했다.
또한 2차에 걸쳐 소비 원단위를 조사, 철강소비산업별 철강재 내수구조를 예측하였고, 동시에 장기 철강수출시장의 구조분석을 통하여 1986년까지 철강재 수요의 구조적 변화전망을 분석했다.
제3부에서는 세계 철강산업 속에서 한국철강산업을 조망하고, 우리나라 철강산업이 당면하고 성장전략을 제시했다.
한편 동 책자에는 제1, 2차 경제계획기간(`62~`71)동안에 압연제품을 중심으로 수입대체가 이루어졌으나, 제3차 경제계획기간(`72~`76)에는 `73년 포스코 가동이후 수입대체와 수출이 동시에 이루어졌다고 기술되어있다. 책자는 '스틸데일리' 서정헌 박사가 기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