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봉형강] 미비한 제동장치···가격 하방압력 지속
- 지난달 말 기상악화 이후 악화된 시황 연장 - 업체 간 판매경쟁 심해지며 유통價 하락 ‘핑퐁’
<철근>
겨울철 비수기에 접어들고 수요부족과 경쟁적인 판매 활동이 나타나면서 자연스레 가격 하방압력이 지속됐다. 시중 철근 유통가격도 내림세가 나타났다.
업계에 따르면 금주 시중 철근 유통가격은 톤당 68만 5,000원(SD400 10mm 기준) 내외에서 형성됐다. 주 초반 70만 원 내외 가격이 등장하더니 하락세에 힘이 실리면서 이내 70만 원을 하회하기 시작했다.
국산 철근 가격을 지붕삼아 일정 수준의 격차를 두고 가격을 따라가는 수입산 철근의 경우도 지난주 대비 소폭 가격이 하락했다. 일본산은 톤당 67만 5,000원, 중국산은 67만 원 내외가 많았다.
가격이 내려갔지만 판매가 활발하게 이뤄지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판매 물량을 늘리기 위해 가격을 내렸지만 되레 가격이 빠르게 내려가면서 구매의사를 거두는 사례도 왕왕 관측되고 있다. 사실상 악순환이 반복되는 상황이다.
<형강>
국내 생산업계가 12월 들어서 차례대로 가격인상을 진행했지만 시장의 체감은 인상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가격인상 정책이 시장에 설득력을 주지 못한 가운데 하방압력이 지속되면서 금주에도 시중 유통가격은 소폭 내려갔다.
업계에 따르면 금주 시중 H형강 유통가격은 국산 중소형 기준 톤당 105만 원~106만 원으로 형성됐다. 국산 제품들의 저가 등장 빈도가 높아지자 베트남산도 가격을 소폭 내리면서 톤당 101만 원 수준에서 가격이 나타났다. 이외에 일본·바레인산은 톤당 99만 원, 중국산은 톤당 98만 원을 형성했다.
일반형강의 경우는 실질적으로 거래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가격 변동이 크지 않았다. 금주 시중 일반형강 유통가격은 83만 원~85만 원 수준으로 업체마다 저점과 고점의 격차가 크게 벌어진 상황을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