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중 시황] 전월 마지막주 하락세 연장
- 시중 유통가격, 지난주 이어 2주 연속 하락세 - 비수기 불안감 확대되면서 월초 공격적 영업 증가 - 10월 판매분 마감가격 추이 주목···금주 윤곽
지난달 마지막주부터 나타난 가격하락세 여파가 12월까지 연장되면서 다소 불안한 출발을 알렸다.
업계에 따르면 금주 초반 시중 철근 유통가격은 국산 기준 톤당 69만 5,000원~70만 원(SD400 10mm 기준)으로 확인된다. 수입산의 경우도 일본산 67만 5,000원~68만 원, 중국산 67만 원~67만 5,000원 선에서 형성됐다.
전체적으로 저점이 내려가면서 지난주 대비 소폭 하락한 모습이 역력하다. 특히, 저가 등장빈도가 많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긴장을 늦출 수 없는 분위기다.
12월 비수기에 대한 불안감이 시장을 둘러싸고 있는 모양새다. 체감상 평년에 비해 수요가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12월 비수기 판매 활동에 제약이 생길 수 있다는 판단을 내린 유통업체들이 월초부터 공격적인 영업을 시작하면서 가격 하방압력을 키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11월 마지막주 악화한 기상악화 상황이 비수기에 대한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기폭제 역할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지난달 말 기상악화로 인해 출하를 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상황이 펼쳐진 바 있다. 계절적으로 기온이 더 내려가는 12월에도 비슷한 상황이 연출되지 않을 것이란 보장이 없다. 이왕이면 조금이라도 수요가 남아있고 판매가 수월한 월초에 영업활동을 집중하는 양상이 흔하게 나타나는 중”이라고 상황을 진단했다.
한편, 11월 판매분에 대한 제강사들의 마감가격이 이번주부터 서서히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당초 제강업계가 고시했던 마감가격과 시중 유통가격 간 괴리가 크다는 점에서 현실적인 수준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보는 중이다. 다만, 시중 유통가격보다 현저하게 낮은 수준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까지 마감가격을 예단하긴 어렵다. 그간의 행보를 되짚어 보면 11월 판매분에 대해서도 유통가격 대비 고가 마감이 진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불확실성이 크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