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3월 STS 가격 향방은?
- 유통향 3월 출하분 공식 인하 가능성에 관련업계 '의견 분분' - 헤어라인 가격 대응 등 선택적 수입시장 방어 예상에 무게 - 수입재와 벌어진 가격차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 필요
포스코의 3월 유통향 가격 공식 인하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월 영업일이 이틀도 남지 않은 가운데, 포스코가 수입재와의 벌어진 가격차를 좁히는데 공식적으로 나설지 아니면 다른 방식을 선택할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것.
일각에서는 포스코가 달러 강세로 수입 가격이 상승하여, 3월 공식 가격 조정없이 수입재와 가격차가 좁혀지는 것을 기다릴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헤어라인과 일부 두께 엑스트라 가격 대응 등에 나서면서 선택적 수입 시장 방어와 함께 공식 가격 조정 대신 물량할인이나 백DC 혹은 손실분 보전 등의 방식을 택할 것이란 예상이 많은 편이다.
지난해 4분기 포스코 침수사고 이후 손실 등 적자 상황을 고려했을 때 공식적인 가격인하 대응에 나서기 어려울 것이란 예상도 상당하다. 유통향으로 가격이 인하될 경우 실수요 시장에도 영향이 고스란히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니켈은 하락한 반면 달러는 강세장을 보이고 있다. 해외 오퍼가격도 인상 뒤 인하로 재오퍼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물론 한국 시장의 경우 AD(반덤핑) 규제를 받고 있는 가운데 대만과 동남아 지역보다 한국향 오퍼가 약 200달러 전후로 높게 제시된 상황이다.
그러나 국내외 시장 모두 수요가 부진하고, 최근 니켈이 약세장으로 전환된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가격인상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판단하기엔 다소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중국의 내수가격의 이렇다할 상승 흐름이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대만 유스코도 1~2월 가격인상 이후 3월 가격은 동결로 결정했다. 일본 NSSC는 1월 인상 이후 2월 가격은 동결로 결정했다.
포스코는 1월 주문투입분 300계 가격을 톤당 10만원 인하한 이후 3월부터 유통향의 경우 출하분으로 가격체제를 변동한다고 밝혔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2월 출하분의 경우 물량에 따라 가격 조정이 일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시중에서는 유통향 3월 출하분 가격 조정 여부를 두고 포스코의 운신의 폭이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인 가운데 인하가 된다고 하더라도 톤당 10~15만원 수준일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형성된 수입재의 판매단가와 2~3월적 수입재 원가와 달러강세 상황 그리고 포스코 GS 수입대응재 매입원가 등을 고려한 예상인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가 정품과 GS수입대응재를 일원화하여 운영하지 않는다면, 두 제품의 가격차는 좀처럼 좁히기 어려울 것이란 예상도 많다.
현재 시장의 가장 큰 문제는 연관 수요산업의 부진과 실수요 업체들의 원가 인상분 전가 어려움, 수입재와의 벌어진 가격차, 고(高)가의 국산 소재에 따른 제품 가격경쟁력 상실 등으로 정리된다. 경기 침체 속 부실 우려가 상대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높은 비용의 원가는 모두에게 부담으로 작동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