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S 업계, 인도 STS AD 조사에 ´날벼락´

- 인도 상공부, STS 판재류 전강종에 걸쳐 AD 조사 개시 - 포스코·현대비앤지스틸·DKC 등 STS 생산업체 타격 불가피 - 스테인리스 제조업체 및 수출상사 등 대책 마련 분주

2019-07-10     손연오 기자
인도가 스테인리스 수입 규제에 강한 칼날을 겨눴다.

금번에 반덤핑 조사에 들어간 스테인리스 제품이 사실상 스테인리스 판재류 전 제품과 전 강종에 걸쳐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기 때문에 인도로 수출량을 늘렸던 스테인리스 수출업계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인도는 지난 2009년부터 현재까지 스테인리스 냉연 제품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2015년부터는 304 스테인리스 열연 제품에도 반덤핑 관세를 부과 중에 있다. 중국산 스테인리스 열냉연 제품의 경우에는 상계관세(CVD)도 부과 중에 있다.

스테인리스 냉연 제품의 경우 폭 600mm 이상 1,250mm에 한하여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다가 지난 2017년 폭 1,250mm 이상 제품이 우회 수출된다고 지적하며 현재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지난 2009년에 부과되기 시작한 스테인리스 냉연 제품의 경우 2015년에 일몰재심이 진행되어 현재까지도 반덤핑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국내 메이커마다 관세율은 차이가 있는 상태이며, 폭 600mm 이상 1,250mm 이하의 스테인리스 냉연광폭 제품의 경우 현대비앤지스틸과 현대제철의 경우는 인도로 수출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포스코·현대비앤지스틸·DKC 등 STS 생산업체 타격 불가피

현대비앤지스틸의 경우는 폭 600mm 이하의 냉연 협폭제품을 중심으로 수출해왔다. 그러나 이번 조사가 개시된 제품의 경우 폭 600mm 이하도 대상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비앤지스틸의 경우 대책 마련에 돌입한 상태다.

포스코의 경우 인도향 수출물량이 냉연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상태로 추정된다. 열연 수출물량도 최근 몇년 간 증가한 상태다. 여기에 전강종이 조사 대상에 포함됐기 때문에 향후 수출물량 감소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포스코 역시 인도의 반덤핑 조사 개시를 전후로 촉각을 곤두세우며 대책마련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스테인리스 후판 생산업체인 DKC도 비상이 걸렸다. 판재류 전 제품으로 반덤핑 조사대상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스테인리스 후판의 경우 최근 몇년간 인도향으로 연간 4~5천톤 수준의 수출이 진행됐기 때문에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상태다.

한편, 현대제철과 대양금속의 경우는 인도향 수출이 사실상 전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의 스테인리스 판재류 반덤핑 조사 대상 기간은 일단 지난 2018년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수입된 물량이다. 한국철강협회 통계에 따르면 이 기간 스테인리스 후판의 경우 5,697톤 수출됐으며, 스테인리스 열연 광폭 강대의 경우 2만 4,735톤 수출됐다.

스테인리스 냉연 광폭 강대의 경우 4만 2,804톤 수출됐으며, 협폭 강대의 경우 3만 985톤 수출됐다. 특히 지난 2017~2018년 사이 스테인리스 판재류의 인도향 수출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업계는 일단 조사개시일로부터 40일 이내에 답변서를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관련한 작업은 물론이고 업체마다 TFT 등 대책팀을 꾸려 적극적인 대응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했다.

또한 인도의 경우 반덤핑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국가이기 때문에 올해 계획된 인도향 수출 물량에 대한 대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수출 계약이 진행되고 있는 물량의 취소 가능성도 크기 때문에 타격이 적잖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보호 무역주의가 기승을 부리고 언제 어느 국가가 무역장벽을 세울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수출 활로를 다변화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내수 수요도 사실상 한계에 다다른 가운데 수출에서 돌파구를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