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규의 시장 읽기] "인내의 시간이 돌아 왔다"

- 제강사 재표는 양호 ... 5월 추가 상승 가능성에 무게 - 제강사 재고, 수입철근, 철 스크랩 가격에 주목해야

2019-04-05     신용규 판코리아메탈 대표
제강사들이 1일자로 철근 가격을 1만원 올렸다. 최대 성수기인 2분기에 들어섰지만 철근 가격도 스크랩 가격도 모두 불안 불안하다. 수급도 시황도 갈팡질팡 이다. 어느 것 하나 확실한 것이 없다. 불확실한 시대를 맞아 시장을 정리하고 전망해 봤다.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1) 전제


제강사의 판매량은 90만톤을 기록했다. 목표대비 3만톤 적다. 4월 다시 93만톤을 목표로 재도전 한다.(22일 출하 기준 하루 4만3,000톤 판매 목표다

국산 재고
는 27만톤 전후로 큰 변동이 없다. 4월 인상에도 불구하고 3월말 가수요는 그다지 보이지 않았다. 제강사의 밀어내기도 없었다. 제강사의 저가 수주 경쟁은 지난 11월 이후 지금까지 거의 없다는 반증이다. 대리점들도 제강사들이 5,000원~1만원 정도 할인을 해 줄 것으로 보고 판매하는 경향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할인 정도 및 저가 물량은 줄어들고 있다.

제강사들인 지난해의 2~3%대 이익에서 벗어나기 위해 배수진을 친 것으로 해석된다.

수입품
은 3월말~4월초 6만7,000톤이 들어온다. 재고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4월 현재 부두 재고는 13만7,000톤으로 늘었다. 이중 SD 500과 600은 약 2만~2만5,000톤 정도로 추정된다. 주로 유통에 출하되는 SD400은 11만톤 이상이다. 4월말~5월초까지 8만톤이 추가로 들어올 것으로 보인다.

4월에 10만톤이 판매된다고 볼 때 5월 초 재고는 11만톤 이상( SD 400 기준 9만톤) 될 것으로 보인다. 이중 약 4만톤 정도는 건설사에서 구매한 것으로 보인다. 대행 물량을 제외하면 순수 유통물량은 9만톤 정도가 될 전망이다. 이는 상당한 수준의 재고로 수입업체들에게는 부담이 될 가능성이 크다.

3월 수입량은 최대 9만3,000톤 정도로 추정되며, 4월로 통관이 미루어진 물량도 약 4~5만톤 정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입은 중국산이 70%, 일본산 25%, 대만산 5% 등이다.

판매가격은
국산 70만원~70만5,000원(10mm 고장력 현금 도착 기준)에 거래되고 있다. 자금난에 처한 업체들은 69만5,000원에 판매하기도 한다. 수입품은 62만5,000원~63만원 수준에서 정체 상태다.

수입업체들의 손익은 톤당 1만원 정도 적자로 추정된다. 535달러에 수입됐다고 할 때 원가는 63만8,000원 정도로 시세보다 원가가 높다. 4월 말~5월 초 수입되는 사강 용강산은 540~545달러여서 원가는 64만5,000원으로 오르게 된다.

2) 추가 변수는?

우선 유심히 봐야 할 것은 제강사의 철근 재고 변동이다. 계절적 성수기 진입과 단가 인상에도 불구하고 국산 재고는 27~28만톤 정도로 거의 변화가 없다. 수입 재고는 7~8만톤에서 13만톤으로 불었다.

재고의 변동이 적다는 얘기는 제강사들의 월말 밀어내기 판매가 없다는 반증이다. 오히려 물량이 늘지도 줄지도 않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이다. 반면 수입 철근 재고는 증가하고 있다.

우리가 생각해 볼 수 있는 변수 중 하나는 수입업체들의 투매 가능성이다. 수입업체 스스로 자폭하는 상황이 될 것이다. 수입업체들이 1년 중 수익을 내는 기간은 2~3개월에 불과하다. 올해는 패러다임이 바뀌어 전략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생존이 어려울 수도 있다. 수입업체들도 제강사들 처럼 생존을 위해 수주 경쟁을 자제해야 한다. 4월 둘째 주 재고는 많은 상태다. 인내심을 가지고 소진을 봐가면서 5월 말~6월 초 발주를 해야 한다.

철 스크랩 가격도 주목해서 봐야 한다. 한국의 2월 철 스크랩 가격이 2만원 정도 떨어졌다. 3월은 경량이 1~2만원, 중량이 3만원 올랐다. 4월은 시작과 함께 1~2만원 상승했다.

반면 해외는 약세 분위기가 뚜렷하다. 일본은 H2 FOB 3만5,000엔 대에서 3만2,500엔까지 밀렸다. 미국산도 342달러에서 333달러로 밀렸다. 터키에서도 330달러 대에서 315달러 대로 떨어졌다.

그러나 일본산 스크랩의 3대 수입국 중 하나인 베트남은 CFR 330달러 대에서 본격 구매하려는 조짐이 뚜렷하다. 이는 컨테이너 스크랩에 대한 정부의 검사 강화로 실질적으로 가용할 수 있는 스크랩이 부족해 일본 철 스크랩 구매가 증가했다. 물론 일본 엔화가 하락한 요인도 있다.

철광석의 고공행진도 변수다. 철광석은 올해 신기록인 CFR 93달러까지 최근 치솟았다. 점결탄은 210달러대에서 199달러로 후퇴했다. 철 스크랩 가격 하락이 제한적인 이유다.

확실한 것은 한국은 큰 변동요인이 없다는 점이다. 4월 평균으로는 5,000원~1만원 정도 오를 것으로 보인다. 5월 철근 가격이 다소 오를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

중국의 증치세 인하 영향도 고려 대상이다. 4월1일~10일 발표한 사강 용강 중천의 철근 내수가격은 3월말과 같은 4,050위안이다. 이번 증치세 조정으로 공장 상차도 가격은 552달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증치세 조정은 내수 활성화를 위해서지만 거래가격은 4월1일 이후 대부분 올랐다. 4월 첫째 주 하북성에서 철근이 40위안 , 선재가 70위안, 열연코일 200위안 올랐다. 철광석 가격 폭등, 증치세 인하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결과이다

지역적으로는 내수 가격의 차별화가 예상된다. 특히 하북성의 감산 해제는 공급확대로 이어져 강동지역보다 수출 가격 경쟁력이 더 생길 전망이다.

비 중국산도 주목해서 봐야 한다. 중국산 수입 비중은 75%다. 대부분 고로산이다. 철광석 가격 급등으로 2분기에는 전기로 생산품인 일본산과 대만산이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철 스크랩 가격 하락으로 일본과 대만산의 가격 경쟁력 회복이 기대된다.

철근업계의 생존 패러다임 변화는 제강사들의 저가 가공철근 수주 근절에서 비롯된다. 철근업계의 일원으로 지지를 보내는 바다. 이제 재 유통업체들의 묻지마 판매 관행도 바뀌어야 한다. 이와 동시에 수입업계도 각사의 능력에 맞는 적절한 수입으로 시장에 덤핑판매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상사의 대행 혹은 해외에서 여신으로 구매(D/A)는 최대한 결제 및 판매 역량을 고려해 진행해애 한다.

지금 시장은 인내 싸움이다. 서두르면 공든 탑이 무너진다. 호흡을 가다듬고 또 가다듬어 천천히 가는 자세가 요구된다.

3일 캐나다에서 한국산 철근,선재, 열연 코일, 칼라강판, 에너지 강관 등에 대하여 세이프 가드 최종 조치에서 제외 한다는 낭보가 날라왔습니다. 업계의 모든 분에게 박수 보내는 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