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전망-강관] “우울한 불황 끝자락 잡고”

- 2월 회고: 시장 온도 상승 중 - 3월 전망: 반등의 서막..출혈경쟁 끝나나?

2019-02-28     유범종 기자
▲ 2월 회고: 시장 온도 상승 중

2월 강관시장은 전월의 연장선상에서 움직였다. 그러나 중국發 소재 가격 상승 등이 이어지며 대형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수익성 회복에 대한 의지와 기대가 한껏 무르익은 점은 긍정적인 변화 요소다.

세아제강, 현대제철, 휴스틸 등 국내 대형 강관 3사는 3월 일제히 단가 인상을 추진한다. 현대제철은 3월 1일 출고분부터 강관 전 제품에 대해 톤당 7만원 인상을 확정하고 고객사에게 공문 발송을 시작했다.

휴스틸도 3월 1일 출고분을 기준으로 8%의 공급단가를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국내 최대 강관사인 세아제강도 3월 4일 출고분부터 배관재는 4%, 구조관은 4~6% 수준의 할인율 축소를 결정하고 고객사에게 공문을 발송했다.

주요 구조관 생산업체들도 3월 초 약 5~7% 내외의 할인율 축소를 확정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3월 또 한 번의 추가 인상까지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스틸데일리 DB

특히 중국 열연 수출가격이 오르고 있는 부분은 강관가격 인상 추진에 가장 큰 동력이다. 중국 춘절 연휴 직후 중국 열연 2급 밀들은 한국향 수출 오퍼가격은 톤당 530~535달러(SS400, CFR기준)를 기록했다. 연초대비 35달러 상향 조정된 가격대다. 중국 현지에서는 현재 열연 가격이 바닥을 확인하고 본격적인 반등을 시작했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파악된다.

포스코, 현대제철 등 국내 열연 생산업체들도 3월 실수요향 공급가격에 대해 톤당 3만원 인상을 확정했다. 강관사 입장에서는 더 이상 내부적으로 소재 매입가격 부담을 해소할 수 없다며 단가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방침이다.

향후 중국 열연 수출가격 등락과 국내 열연 생산업체들의 가격 전략, 수요 회복 등에 따라 강관가격 인상도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 3월 전망: 반등의 서막..출혈경쟁 끝나나?

3월 강관시장은 안개 속에 가려져 있다. 특히 2월 말부터 시작된 국내 강관사들의 가격 인상 추진이 시장에 온전히 연착륙할 수 있을지 최대 관건이 될 전망이다.

강관 가격 인상 성공 여부는 중국 열연 수출가격 등락이 최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3월에는 중국 전인대가 열린다. 여기서 향후 중국 인프라 투자 및 부동산 정책 등의 방향이 결정될 것을 것 보인다. 통상적으로 전인대 이후 철강가격이 뛰었던 것을 고려하면 중국 열연 수출가격 상승세는 적어도 3월까지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을 전망이다.

그 동안 중국 열연 가격 하락 국면에서 강관 수요가들은 매입 관망세로 돌아서며 강관 제품가격에 대한 강한 인하압력을 행사했다. 이는 강관시장의 물량 축소와 가격 하락으로 직결됐다. 따라서 향후 중국 열연 수출가격 상승 폭에 따라 국내 강관 제품가격 인상 성공 여부도 가늠될 것으로 예상된다.

▲ 스틸데일리 DB

한편 배관재 수출시장은 우울한 이슈가 발생했다. 미국의 반덤핑 조사 연례재심 예비판정에서 한국산 송유관에 폭탄관세가 결정된 것이다. 국내 강관사들은 최종 판정에서 뒤집기 위해서는 PMS 적용 해소가 최대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2월 7일 관보를 통해 한국산 송유관 반덤핑 조사 2차 연례재심(2016.12~2017.11) 예비판정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예비판정에서 한국 강관 수출업체들은 1차 연례재심 대비 최대 3.5배에 달하는 고율의 관세를 부과 받았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넥스틸이 59.09%로 최고율의 관세를 부과 받았다. 1차 연례재심과 비교하면 무려 42% 이상 높아진 관세율이다. 세아제강과 현대제철 등 국내 주요 송유관 수출업체들도 최소 12%에서 최대 23%에 달하는 관세율 상향 조정이 이뤄졌다.

이번 송유관 예비판정에서 미국 상무부는 특별시장상황(PMS)이 존재한다고 판단했다. 특히 포스코산 열연을 사용하는 국내 강관업체들의 가격에 왜곡이 발생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현재 포스코의 미국향 열연 수출의 경우 정부 보조금 등의 명목과 AFA 조항 발동 등으로 57.04%의 상계관세가 부과되고 있는 상태다.

즉 한국산 송유관에 대한 높은 반덤핑 관세는 포스코산 열연을 소재로 사용한데 따른 결과라는 것이다. 실제 포스코산 열연을 100% 사용한 넥스틸의 수출 관세가 가장 높은 부분이 이를 방증하고 있다.

다만 미국 상무부는 지난해 10월 포스코산 열연강판 상계관세 연례재심 1차 예비판정에서 종전 부과해왔던 관세율을 1.73%로 조정하며 55.31%p 낮췄다. 최종 판정까지는 아직 3~4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나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국내 강관 수출업체들은 포스코 열연 관세가 최종적으로 낮아진다면 강관 수출 관세 역시 자연스럽게 동반 하향 조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당장 관세가 조정되지 않더라도 PMS 적용 근거가 사라지는 만큼 이를 근거로 CIT나 WTO에 적극 제소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