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정부가 물가상승률 억제를 위해 2021년 8월 1일~12월 31일 동안 반제품·완제품 철강재, 알루미늄, 니켈, 구리 등에 15%의 수출관세 도입을 결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정식공표일은 6월 30일이며 발효일은 공표일로부터 30달력일이 지난 날부터인 것으로 알려졌다.

철강 펠릿과 기타 반제품에는 톤당 54~400달러, 열연 및 철근에는 톤당 최저 115달러, 냉연코일·선재·기타 완제품에는 톤당 133~1,300달러 합금철 및 STS제품에는 톤당 150달러, 니켈은 톤당 2,321달러, 알루미늄은 톤당 254달러, 구리는 톤당 1,226달러의 수출관세가 책정됐다.

다만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 등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소속 국가는 수출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판단했다.

글로벌 최대 정련니켈 메이커인 Nornickel, 중국 외 글로벌 최대 알루미늄 메이커인 Rusal 등은 논평이나 취재를 거부했으나 금속업계 로비업체들이 이미 해당 수출관세율 규모와 제품마다 다른 관세율 적용에 대해 수정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NLMK, Severstal 등 철강업체는 수출관세 부과가 반제품·선철 수출감소로 이어져 전기로사 마진이 악화될 수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우크라이나나 터키산 제품이 기존 러시아 제품을 대체할 것으로 우려했다.

여타 현지 철강 플레이어들도 러시아 경제부가 건설향 철강재 내수 가격 안정화를 위해 수출관세 부과를 도모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선재 가격은 소폭 하락할 수 있어도 철근 가격은 조정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지적했다.

S&P 글로벌 플랏츠에 따르면 현지 연구·컨설팅 기관들은 수출관세 부과 시 러시아 철강기업의 2021년 EBITDA가 6% 정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 경제부는 완강하다. 올해 금속 가격이 제품별로 60~100% 급등한 상황에서 수출관세를 통해 금속기업의 초과이익 20~25%를 도로, 주택, 인프라 건설에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수출관세 부과 시 철강재에는 1,140 억 루블 (약 16 억 달러), 비철금속에는 500억 루블(약 7억 달러)의 세금을 부과할 것으로 예상했다.

S&P 글로벌 플랏츠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정부는 비 에너지 부문에 대해서는 수출을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으나 고부가가치 금속 제품에 한해서는 수출관세 부과가 필요할 수도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한국의 경우 러시아산 철강 수입 점유율은 2016년 4.1%, 2017년 4.7%, 2018년 4.6%, 2019년 4%, 2020년 4.4%, 2021년 1~5월 3.1%로 점차 낮아지고 있다.

해당 수출관세의 대상은 철강 반제품 및 완제품인 것으로 알려졌다. 철스크랩의 경우 톤당 45유로였던 수출관세를 오는 8월 1일부로 톤당 70유로까지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러시아가 중국, 일본을 제외하면 미국과 철강 수입국 3~4위를 다투는 국가이며 철스크랩이건 철강재건 러시아산 제품 수입량이 많은 기업들은 상황을 꾸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스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