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연방정부예산안 발표로 건설, 자동차 등의 제조업 발전이 기대되며, 성장 잠재력이 상당한 인도 철강 시장에 진출하려면 현지기업과의 협력이나 ‘대기업∙중소기업 간 이인삼각’ 과 같은 공동 진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포스리가 밝혔다.

포스리 김용식 수석연구원은 인도 모디 정부가 지난 2월 1일 두 번째 연방정부예산안(Union Budget 2020-21)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인도의 연방정부예산안은 1년 간의 경제정책 목표, 산업 정책, 투자 방향 등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인데 이번 발표에서는 경제성장률 하락, 실업률 증가 등으로 다양한 경제활성화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으나 단기 부양책 부족으로 시장이 실망감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2020-21 예산안은 인프라 확대 등 장기성장 기반 구축을 강조했다. 예산은 전년 대비 12.7% 증액한 30조 4,000억 루피(약 4,242억 8,595만 달러)를 책정했으며, 경기활성화를 위한 정부지출 증가로 GDP 대비 재정적자 목표치는 3.5%로 설정했다.

예산안 지출의 3 대 축으로 희망찬 인도, 모두를 위한 경제 개발과 더불어 사는 사회를 제시하면서 사회복지, 여성, 아동 대상 지원을 확대했다. 경기 회복을 위한 단기 지원책보다는 농업 및 농촌개발, 교통·운송 인프라, 교육부문 투자 확대로 장기성장 기반 구축에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용식 연구원은 인프라 확대, 농촌 개발, 주택 건설 등으로 건설 및 시멘트 산업 전망이 가장 긍정적이며 철강 산업 역시 수요산업 확장이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내다봤다.

고속도로, 공항, 철도 투자 확대 등 교통·운송 인프라 투자와 향후 5년 간 102조 루피(약 1조 4,235억 9.102만 달러) 규모의 인프라 프로젝트 추진으로 건설 산업과 시멘트 산업이 가장 큰 수혜 업종일 것으로 예상했다.

자동차 산업의 경우 승용차는 농가소득 증가 정책, 개인소득세 인하 등의 호재와 GST 미반영과 같은 악재가 혼재되어 있으며 상용차는 인프라 투자확대로 성장을 기대할 수 있겠으나 전기차 조립 완성업체는 부품 수입 관세 인상으로 전망이 부정적이라고 전했다.

철강 산업은 각종 인프라 투자 확대로 인한 수요 견인을 기대할 수 있는 점은 긍정적인 반면 원재료 수입 관세인하가 수용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부정적이라고 밝혔다.

수입 의존도 줄이기, 일자리 창출, 제조업 육성, 국가브랜드 강화를 위한 중간재 부품의 수입관세율 인하, 최종 제품 관세 인상폭 확대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부품산업 동반진출 등 산업 생태계 조성 노력이 긴요하다고 지적했다.

2020-21 예산안에서 강조하고 있는 인프라투자 확대, 농업 및 연관사업 발전 전략, 산업별 정책을 분석하여 사업기회를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며, 제조업 진출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현지 생태계 구축을 위한 부품 업체 등과 공동 진출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