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7일 한국무역협회 트레이드타워에서 열린 ‘미국 통상정책 변화와 우리 기업의 대응 세미나’에서 ‘반덤핑 등 무역구제조치 최근 사례 및 FTA 혜택을 상쇄하는 국경조치에 대한 우리 기업의 대응전략’이라는 제목으로 주제 발표를 진행한 KPMG삼정회계법인 심종선 이사는 “IT system 기반의 통상전문조직을 통해 전사적이고 입체적이고 사전적인 반덤핑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에 대한 무역구제 조사는 ▲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선행’하며, 철강∙화학∙전자제품 등 한국의 우수하고 합리적인 가격의 제품에 대한 각국의 견제가 강하게 작용하며, ▲ 조사국 별로 미국∙호주 등 ‘선진국의 견제 심화’와 말레이시아∙캐나다∙대만 등 ‘AD/CVD 활용 국가의 다변화’라는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토끼몰이’식 조사 행태가 등장하고 있는데, ▲ 전기강판, 유정용강관, 송유관, 냉연강판 등 여러 제품에 대한 AD 조사를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한국 수출 기업들을 압박하고, 답변 과정에서 비일관된 정보가 제출되도록 유도하며, ▲ 근무일 4~5일만에 400~500페이지 분량의 답변서를 제출하도록 요구하거나, 연장 신청을 해도 1주일의 연장만을 허용함으로 답변서의 질이 저하되도록 유도하고, ▲ 수출기업에 불리한 여론을 형성하고, 정치계 인사를 동원하여 조사기관을 압박함과 동시에 수출자 자신의 이익을 보호할 수 없는 환경을 조성하는 등의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심종선 이사는 미국이 노골적으로 보호무역주의를 천명하면서, 최소한 표면적으로나마 유지되던 균형이 깨질 것이라고 전망하며, 이로 인해 보호무역주의가 장기화, 고착화 될 것을 우려했다.



한편, 한국은 2015년 38.2%의 수출의존도(1위 독일 39.5%에 이어 세계 2위)를 나타내고 있어 통상환경의 변화에 민감한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수입규제 증가와 글로벌 경기 침체로 수출액은 ‘14년 이래 감소하는 추세다. 하지만 중국과 미국에 대한 의존도는 ‘08년 이래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각 단계별 반제품이 통상위험에 노출되는 현상도 발생될 우려가 있다. 한국은 보호무역주의 하에서 다양한 리스크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심 이사는 우려했다.

과거 FTA를 활용하는 방식은 FTA 체결로 특혜관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제품의 수출을 늘리거나, 원산지율을 높이기 위해 역내산 구매를 늘리는 단방향의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다공장/다공정/다국가 생산이 일반화된 현 시점에서는, 한국이 체결한 FTA뿐 아니라, 다양한 FTA 조합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생산-공급 조합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원재료 조달, 부품 조달, 생산 공정, FTA원산지기준, 최종 수출국 등의 조합에 따른 공헌이익 분석을 통해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


반덤핑 조사 대응 시 부딪히게 되는 주요 난관들로는 ▲ 반덤핑 조사를 유발하는 가격/고객 정책, ▲ 한국식 비즈니스 관행에 따른 관련 문서 미비, ▲ 영업 이력의 분산 또는 상실, ▲ 그리고 한국 특유의 그룹사/협력사 문화 등이 있다.

이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동시다발적인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통산 전문 조직을 구축하고, IT 시스템 기반의 전사적, 입체적, 사전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심 이사는 조언했다. 위 두 기능을 융합시킨 IT 기반의 통상전문조직은 “Value Chain의 각 기능을 국가별로 재배치함으로써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글로벌 법인세-관세 최적화를 통해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조직으로 진화할 수 있다”고 조언하며 발표를 정리했다.

저작권자 © 스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